(정기여론조사)①양당, 오차범위 이내로…신당 등장에 민주 '휘청'(종합)
민주 42.2% 대 국힘 36.3%…민주, 호남서 20.5%p 급락한 47.7%
3지대 통합신당 간판은? 이준석 20.9% 대 이낙연 16.4%
국민 54.4% "이태원특별법, 윤 대통령 거부권 행사 반대"
국민 절반 "제2부속실·특별감찰관, 김건희 특검 대응책으로 미흡"
2024-01-16 06:00:00 2024-01-16 08:06:35
<뉴스토마토-미디어토마토>
전국 1003명 / 오차범위 ±3.1%포인트 / 응답률 6.8%
 
[이태원특별법 거부권 행사 찬반]
거부권 행사해야 한다 36.6%
거부권 행사해선 안 된다 54.4%
 
[제2부속실·특별감찰관 등 김건희 특검 대응책 평가]
적절하다 32.5%
미흡하다 51.3%
 
[제3지대 통합신당 간판 적합도]
이준석 전 대표 20.9%
이낙연 전 총리 16.4%
금태섭 전 의원 3.8%
조응천 의원 3.3%
김종민 의원 3.1%
양향자 의원 2.7%
이원욱 의원 0.9%
 
[총선 지지 정당]
민주당 42.2%(2.3%↓)
국민의힘 36.3%(1.1%↑)
이준석 신당 7.8%(2.1%↑)
이낙연 신당 3.5%(0.8%↓)
정의당 1.9%(0.2%↑)
그외 다른 정당 1.8%(0.1%↓)
지지 정당 없음 4.5%(1.1%↓)
잘 모름 1.9%(0.7%↑)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도]
매우 잘하고 있다 20.3%(3.6%↑)
대체로 잘하고 있다 17.1%(2.7%↓)
대체로 잘못하고 있다 9.4%(0.4%↓)
매우 잘못하고 있다 49.6%(0.4%↓)
 
[뉴스토마토 박주용·표진수 기자] 4·10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로 좁혀졌습니다. 3지대 신당 창당이 속도를 내면서 민주당 지지세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신당 등장이 국민의힘 지지층을 결속시킨 반면 민주당 지지층은 분산되는 모양새입니다. 민주당 '본진'인 호남부터 요동 치기 시작했습니다. 호남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한 주 사이 '20%포인트' 이상 급락한 반면, '이준석 신당'은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했습니다. '정권심판론'에 안주한 민주당이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
 
16일 <뉴스토마토>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토마토>에 의뢰해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선거 및 사회현안 116차 정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서 지지할 정당을 묻는' 질문에 민주당 42.2%, 국민의힘 36.3%, 이준석 신당 7.8%, 이낙연 신당 3.5%, 정의당 1.9% 순으로 나왔습니다. '그 외 다른 정당' 1.8%, '없음' 4.5%, '잘 모름' 1.9%로 조사됐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약 10개월 만에 양당 지지율 '오차범위 내'
 
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주 44.5%에서 이번 주 42.2%로 2.3%포인트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국민의힘 지지율은 35.2%에서 36.3%로 1.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양당의 격차는 지난주 9.3%포인트에서 이번 주 5.9%포인트로 줄어들었습니다. 같은 기간 이준석 신당은 2.1%포인트 올랐습니다.
 
양당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로 좁혀진 것은  '뉴스토마토·미디어토마토'의 지난해 3월13~15일 조사(일반 정당 지지도 조사·국민의힘 39.0% 대 민주당 45.4%) 이후 약 10개월 만입니다. 특히 같은 해 6월19~21일 조사 땐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발언과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지명 논란으로 양당의 격차가 국민의힘 31.5% 대 민주당 49.8%로, 20%포인트 가까이 크게 벌어졌습니다. 
 
이후 7월4일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안전 검토 보고서 공개, 6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전면 백지화 논란이 있던 7월10~12일 조사에선 국민의힘 32.3% 대 민주당 48.8%로, 양당의 격차는 여전히 두 자릿수였습니다. 이어 윤 대통령의 5박7일 일정 영국·프랑스 순방 기간 때인 11월25~26일 조사에서 국민의힘 37.5% 대 민주당 44.8%를 기록한 이후 양당의 격차는 지난해 말까지 대체로 10% 내 격차를 유지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당의 등장으로 민주당의 지지세가 분산되면서 오차범위 내로 좁혀지는 결과까지 나왔습니다. 현 민주당 지지세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방증입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총선이 다가올수록 결집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3일 일반 정당 지지도 조사 이후 이번 총선 정당 지지도 조사까지 포함하면 총 4차례 조사에서 국민의힘의 지지율은 34.0%(지난달 12월2~3일 조사)에서 점차 상승해 36.3%(1월13~14일 조사)까지 올랐습니다.
 
2030, '이준석 신당' 10%대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20대에서 50대까지는 민주당이, 60대 이상에선 국민의힘이 우위를 보였습니다. 이준석 신당의 경우 20대와 30대에서 각각 15.0%와 11.5%의 지지를 받으며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인천과 충청권, 호남, 강원·제주에선 민주당이, 영남에선 국민의힘이 우세했습니다. 다만 호남에서 민주당의 지지율이 지난주에 비해 무려 20.5%포인트 빠지면서 47.7%를 기록했습니다. 이준석 신당이 지난주 1.8%에서 이번 주 12.4%로, 호남 지지율이 크게 상승한 것과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또 서울에서 양당의 지지율 격차가 지난주 12.1%포인트에서 이번 주 5.9%포인트로 좁혀졌습니다. 중도층에선 국민의힘 27.1% 대 민주당 45.4%로, 민주당이 크게 앞섰습니다. 이준석 신당과 이낙연 신당의 중도층 지지율은 각각 9.4%, 5.2%였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이런 가운데 3지대 신당들이 빅텐트를 통해 하나로 통합할 경우 '간판'으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현 개혁신당 정강정책위원장)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전 대표는 2030 세대와 호남의 지지를 기반으로 이낙연 전 국무총리마저 눌렀습니다. '3지대 신당들이 빅텐트를 통해 통합할 경우, 당 간판으로 누가 가장 적절하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0.9%는 '이준석 전 대표'를 꼽았습니다. 이낙연 전 총리는 16.4%의 선택을 받으며 오차범위 내 격차로 이 전 대표 뒤를 이었습니다. 이어 금태섭 전 의원(3.8%), 조응천 의원(3.3%), 김종민 의원(3.1%), 양향자 의원(2.7%), 이원욱 의원(0.9%) 순으로 지목했습니다. '기타 다른 인물' 6.3%, '잘 모르겠다' 8.2%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없다'는 응답이 34.5%로 나타났습니다.
 
2030 "간판은 이준석"…호남 '이준석'-TK '이낙연'
 
조사 결과를 연령별, 지역별, 정치성향별로 보면 이 전 대표와 이 전 총리의 양강 구도가 뚜렷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를 중심으로 이 전 대표의 지지세가 높았습니다. 이 전 총리는 70대 이상에서만 우위를 보였습니다. 지역별로는 이 전 대표가 경기·인천과 호남, 강원·제주에서 지지세가 높았습니다. 특히 이 전 대표는 이 전 총리의 정치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호남에서 이 전 총리보다 2배 가까이 더 높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3지대 신당의 주 공략층인 중도층의 경우 이준석 22.4% 대 이낙연 17.3%로, 이 전 대표가 다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또 국민 절반 이상은 이른바 '이태원 참사 특별법'(10·29 이태원 참사 피해자 권리 보장과 진상 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법 제정안)에 대한 윤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54.4%는 국회를 통과한 '이태원 참사 특별법'에 대해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응답은 36.6%에 그쳤습니다.
 
수도권·충청권·호남 '반대', PK '팽팽'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하까지 '거부권 반대'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70대 이상에선 '거부권 찬성' 응답이 앞섰습니다. 60대의 경우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 강원·제주에서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반대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대구·경북(TK)에선 찬성 응답이 더 높았습니다. 부산·울산·경남(PK)은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중도층의 경우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60%에 달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아울러 국민 절반가량은 여권이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 법안의 대안으로 제시한 대통령실 내 제2부속실 부활과 특별감찰관 임명에 대해 "미흡하다"고 평가 절하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51.3%는 여권 내에서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관리할 방안으로 제2부속실 설치와 특별감찰관 임명이 논의되고 있는 데 대해 "미흡하다"고 답했습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32.5%에 불과했습니다.
 
수도권 '미흡' 우세, PK조차 절반 이상 '미흡'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하까지는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대한 여권의 대응으로 "미흡하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습니다. 반면 70대 이상에선 적절 40.8% 대 미흡 32.4%로,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동시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 또한 26.8%에 달했습니다. 60대는 적절 42.7% 대 미흡 39.6%로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호남, 강원, 부산·울산·경남, 제주에서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대한 여권의 대응으로 "미흡하다"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영남의 한 축인 부산·울산·경남에서조차 적절 32.6% 대 미흡 53.2%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보수의 심장부인 대구·경북에서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앞섰습니다. 대전·충청·세종의 경우 적절 42.7% 대 미흡 41.0%로 팽팽했습니다. 중도층의 경우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대한 여당의 대응으로 "미흡하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소폭 올랐지만 30%대 중반에 자리했습니다. 부정평가는 다소 줄었지만, 60%에 달하며 여전히 높았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37.5%가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평가('매우 잘하고 있다' 20.3%, '대체로 잘하고 있다' 17.1%)했습니다. 긍정평가는 지난주 36.5%에서 이번 주 37.5%로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부정평가는 59.9%에서 59.0%('매우 잘못하고 있다' 49.6%, '대체로 잘못하고 있다' 9.4%)로 0.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윤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37.5% 대 부정 59.0%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하까지 부정평가가 높았고, 70대 이상에선 긍정평가가 앞섰습니다. 특히 20대 부정평가 응답이 70%에 달하며, 부정평가 부분에서 40대를 제치고 모든 연령 중 1위를 기록했습니다. 40대보다 20대 부정평가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지난달 2~3일 조사 이후 6주 만입니다. 60대의 경우 긍정 48.9% 대 부정 48.3%로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경북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 응답이 높았습니다. 부산·울산·경남에서조차 부정평가 응답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반면 대구·경북에선 긍정 59.7% 대 부정 37.4%로 나왔습니다. 중도층에서는 부정평가 응답이 60%를 상회했습니다. 중도층 긍정 29.8% 대 부정 65.5%였습니다. 총선 지지 정당별로 보면 이준석 신당 지지층과 이낙연 신당 지지층에선 부정평가 응답이 각각 85.3%, 70.1%였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안심번호)를 활용한 무선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입니다. 표본조사 완료 수는 1003명이며, 응답률은 6.8%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서치통 홈페이지(www.searchtong.com/Home)를 참조하면 됩니다.
 
박주용·표진수 기자 rukao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