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뒤통수 맞은 금감원..대부업계 정보유출 검사나서
대책 발표한지 석달만에 러시앤캐시·산와머니 고객 보이스피싱 발생
2011-12-02 11:46:45 2011-12-02 11:48:00
[뉴스토마토 송주연기자] 대부업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빼내 보이스피싱에 악용한 사건이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이 유출 경위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미 고객정보 유출 방지 방안이 마련돼 있고, 최근에는 금감원이 대부업체에게 개인 신용정보와 관련한 지도를 했음에도 이런 사건이 발생해 금융당국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달 24~30일까지 일주일 만에 에이앤피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와 산와대부(산와머니)의 고객정보가 유출돼 19건의 보이스피싱이 피해가 발생했다고 2일 밝혔다.
 
피해규모는 산와머니가 17건 265만원, 러시앤캐시가 2건 28만원으로 확인됐다.
 
특히 대부업계의 고객정보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은 이번이 처음이다.
 
피해자들은 '해당 대부업체가 12월부터 영업정지 되니 우체국에 우선 돈을 입금하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자메시지에는 본인의 이름이 정확히 적혀 있었고, 1688로 시작되는 회신번호로 전화를 걸면 해당 대부업체로 자동 연결되도록 했다.
 
러시앤캐시와 산와머니가 지난달 금융당국으로부터 법정 이자율을 초과한 대출 이자를 받아 챙긴 사실이 적발돼 영업정지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을 악용한 것.
 
금감원은 사기범들이 대부업체 이용고객의 정보를 빼내 영업정지를 거론하며 피해자들이 믿을 수밖에 없는 '맞춤형' 보이스피싱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1일 이들 대부업체 2곳에 대해 사기범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및 전체 고객에 대한 경고 문자메시지 발송 등을 지도했으며, 2일부터는 정보기술(IT) 전문가로 구성된 검사역 6명을 파견해 사고발생 경위와 고객정보 유출경로를 확인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검사는 다음 주 말까지 약 일주일 동안 진행할 예정"이라며 "인터넷진흥원에서도 이번 검사에 함께 참여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감원의 검사 등이 사건 발생 예방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아 보다 강력한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금감원은 지난 2009년 7월 이미 고객정보 유출 방지 방안을 마련했고, 올해 9월에는 개인신용정보 관리와 관련해 대부업체를 지도하기도 했지만 3개월도 채 안돼 보이스피싱 사건은 보란 듯이 발생했다.
 
금융당국의 본인확인 절차 강화 지시에도 올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카드론 보이스피싱 사건 역시 부실한 대책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란 지적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금까지 대부업체에 대해서는 불법 추심, 고금리 적용 등을 집중 감독했는데 이번 일을 계기로 대부업체가 내부적으로 개인정보를 잘 통제하도록 감독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사기범들의 수법이 진화하는 만큼 미연의 방지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