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방 함량 중심 우유가격 산정체계 바뀐다
내년부터 유단백질 기준 신설.."변화된 소비트렌드 반영해 개선"
2013-06-07 14:39:09 2013-06-07 14:41:54
[뉴스토마토 김원정기자] 지방은 기피하고 단백질을 선호하는 최근 소비트렌드에 발맞춰 정부가 내년 1월부터 원유(우유) 가격 산정체계를 바꾸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낙농산업 선진화 대책을 7일 발표했다.
 
새로 도입하는 원유 가격 산정 방식은 기존 유지방 함량 중심의 원유 가격 체계를 바꾸는 게 핵심이다. 
 
농식품부는 원유 가격을 매길 때 유지방의 가격효과 부분은 비율을 줄이고 유단백질 기준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원유의 세균 수와 체세포 수 기준은 가격을 산정할 때 계속 반영되는데 대신 체세포수 기준은 유지방과 더불어 비율을 다소 줄였다.
 
유지방 차감분 12.59원, 체세포수 차감분 3.17원은 신설되는 유단백질 가격효과 15.76원으로 보전되기 때무에 결과적으로 전체 가격효과는 148.26원을 유지하게 된다.
 
<자료제공: 농식품부>
 
농식품부는 현행 원유 가격 산정 체계를 "장기 미해결 과제"로 지목하며 이번에 소비자 기호 변화를 반영해 개선하되 낙농가의 준비기간을 감안, 내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체세포수 1~2등급 등차 가격 격차가 확대되면서 원유 품질 향상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대책에는 원유 수급 조절에 대한 정부 역할을 늘리고 오는 8월 우유가격을 생산비와 연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정부는 그 세부사항으로 전국단위 원유 수급조절제를 시행하고 221만톤 수준으로 자율적 총 생산쿼터를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