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지난해 취업자 5명중 1명이 전문직?.."신뢰 안돼"
운전강사·보조교사도 전문직으로.."고소득은 아닌 것 아냐?"
2014-03-03 15:21:23 2014-03-03 15:25:41
[뉴스토마토 방글아기자] 지난해 취업자 5명중 1명이 전문직 종사자라는 통계청 조사 결과가 나왔지만 구직자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등 정부기관인 통계청의 조사결과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 
 
취업난 속에서 소위 전문직이라면 고소득을 보장받는 것으로 알려져 전문직 취업을 보장한다는 자격증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지만 사회를 읽는 지표가 돼야 할 통계청의 조사결과가 현실과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2500만6000명 가운데 전문직 관련 종사자는 496만6000명으로 19.8%를 차지했다.
 
사무종사자가 그 뒤를 이었고, 단순노무종사자와 판매종사자,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서비스종사자, 기능원 및 기능종사자,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관리자 등의 순이다.
 
◇2013년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수(자료=통계청)
 
그러나 이같은 통계가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라는 게 중론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 상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로 분류된 직종에 아직 '전문가'로서 사회적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한 직업이 상당수 포함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사회적 통념상 전문직이라면 직장에서 고액연봉을 받거나 고소득을 올리는 자영업자 등이 먼저 떠오르는데 우리나라의 실질법에서 전문직으로 분류하는 직업군은 현실과 격차가 크다. 
 
국제표준직업분류상에는 서비스 종사자로 분류돼 있지만 한국에서는 전문직 종사자로 분류된 운전강사, 보육교사, 보조교사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소각로·수질관련 설비 운영자, 패션 모델, 애완동물 미용사와 동물 관리 종사자 등이 한국표준직업 상에서 전문직으로 분류돼 있다.
 
나름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벌어들이는 수익은 사회적 통념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구직자들은 5명중 1명이 전문직 취업자라는 통계청의 발표자료를 신뢰하지 않는 것.
 
구직자들이 공감하지 않는 또 다른 이유의 하나는 전문직에 종사할 수 있게끔 허용되지 않는 일의 무게 때문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상 전문직으로 꼽히는 직업상담사로 서울시 한 상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40대 여성 A씨는 "1년에 1만건씩 상담량이 할당돼 전문적인 상담이 불가능하다"면서 "전문상담사로 자부심을 느끼기에는 근로 여건이 열악하다"고 토로했다.
 
'장롱자격증'을 가진 전문가가 많아진 것도 이유중 하나다.
 
전근오 공인노무사는 "취업이 어려우니 불안한 마음에 어떤 자격이라도 하나 더 갖추려고 사람들이 자격시험에 몰린 결과"라면서 "김대중정부부터 전문직 자격요건이 대폭 완화하기 시작하면서 최근에는 각종 협회와 단체에서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자격소지 여부만을 기준으로 전문직 취업자라고 분류하고 전문직 취업자가 늘었다는 아전인수식 해석을 내놓는 통계청의 발표자료는 현실을 모르는 탁상공론일 뿐이라는 주장인 것. 
 
최근 각종 구직사이트상에서는 "국세청의 소득기준 8대 전문직", "지는 전문직·뜨는 전문직" 등의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정부 통계치의 의뭉스러움이 불신으로 이어져 구직난 속 취업준비생들이 살아남기 위한 전문 영역의 기준들을 직접 제시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 된다.
 
이와 반대로 기술적 세분화가 이뤄지고 지식이 고도화한 사회에서 전문직을 인정하는 기준이 늘어난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국표준직업분류는 2007년 제6차로 최종 개정되면서, 전문직 및 관련 종사자에 컴퓨터 보안전문가와 헤드헌터, 대학 시간강사와 학습지강사, 품질인증심사전문가, 큐레이터, 쇼핑호스트, 프로게이머 등을 새로 추가했다.
 
이에 대해 학계 전문가는 "전문직에 대한 개념인식이 선행돼야 하는데 정부의 일방통행식 정책이 구직자들로부터 공감을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며 "통계청의 표준분류가 있는데도 전문직 기준이 모호하다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취업률부터 높이고 보자는 정부의 고용정책이 잘못됐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