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독점체제 허문다
'물백신' 논란 이후 백신체계 개선…연구센터 건립해 국산화 추진
2015-07-21 17:31:05 2015-07-21 17:31:05
효과 없는 '물백신' 사태로 5명의 담당 공무원이 징계를 받는 등 곤욕을 치룬 농림축산식품부가 백신 관리체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방역 관리체계 정비 및 초기 대응 강화 방안' 브리핑을 열고 지난 3월 논란이 됐던 물백신 사태의 후속조치로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 3월 본부가 사용하는 백신의 효능이 기준치에 미달한다는 사실을 구제역세계표준연구소(퍼브라이트)로부터 통보 받았지만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효능이 좋은 백신이 있음에도 도입 여부에 대한 검토조차 하지 않은 사실이 추가로 밝혀지며 해당 공무원들이 국무총리실 소속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됐다.
 
농식품부는 한바탕 홍역을 치른 뒤 구제역 방역대책에 대한 개선안 마련에 나섰고 메리얼사 백신 독점체제를 허물겠다는 대책 방안을 내놨다.
 
이준원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국내에 적합한 백신 선정을 위해 상시 모니터링과 신속한 백신매칭률(r1) 검사, 백신 다양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2018년까지 백신생산 원천기술을 확보해 국산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개발되는 백신은 국내 분리주 3종 등 17종으로 O형은 안동주·진천주, A형은 포천주 등이다. 이같은 개발이 이뤄질 구제역백신 연구센터는 오는 8월 완공이 예정돼 있다.
 
백신 선정과정도 다양해진다. 이 실장은 "그동안 상시백신으로 3가 백신을 사용했으나 앞으로 다른 혈청형의 국내 발생 가능성과 백신비용, 긴급 대응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단가·2가·3가 백신 등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백신의 국내 유통체계도 개선 대상이다. 현재 사용중인 백신을 포함해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검증되면 백신의 추가 수입도 허용된다.
 
독점체제라는 비판이 잇따랐던 백신체계를 경쟁체제로 변화시켜 보다 투명하게 운영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상시방역 관리체계 정비를 위해 전국을 가축 사육밀도, 지리적 여건, 도축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권역화(zoning)'하기로 했다. 여기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권역 단위로 집중 방역을 실시한다는 '권역별 방역관리 제도'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이 실장은 "발생권역에서 비발생 권역으로의 가축 이동 제한 등 권역별·축종별 위험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12월 충북 진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마무리됨에 따라 구제역 위기단계를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이해곤·방글아 기자 pinvol1973@etomato.com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이 21일 오전 세종정부청사 농식품부 브리핑룸에서 구제역 위기단계 하향과 방역대책 개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