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오너 귀환 갈망…'광복절특사' 촉각
한화갤러리아·CJ·오리온 등 사면 기대
2016-08-09 06:00:00 2016-08-09 06:00:00
[뉴스토마토 이광표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주 중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을 확정할 전망인 가운데 유통업계가 오너들의 귀환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전경련 등 재계가 정부에 건의한 특별사면 대상 명단에는 김승연 한화(000880) 회장, 이재현 CJ(001040) 회장, 담철곤 오리온(001800) 회장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면세점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는 한화갤러리아는 김승연 회장의 사면을 기대하고 있다. 
 
김 회장은 횡령과 배임 혐의로 기소돼 2014년 2월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 경영에 복귀했지만 2019년 2월까지 등기이사직 수행이나 주요 계약상 지위 등에서 제약을 받고 있다. 
 
한화갤러리아가 김 회장의 사면을 기대하는 이유는 그가 면세점사업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삼남인 김동선 과장이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면세사업 태스크포스(TF) 일원으로 참여하는 등 면세점 사업에 관여하고 있기도 하다. 
 
회사는 면세점 시장이 춘추전국시대로 접어든 만큼 김 회장의 완전한 경영복귀가 이뤄져야 적극적인 투자 주문과 신규 사업 유치 추진이 원할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제일제당 등 CJ의 식품 유통 계열사들도 이재현 회장의 특별사면에 마지막 기대를 걸고 있다. 이 회장은 지난해 11월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6개월의 실형과 함께 벌금 252억원을 선고 받았다. 최근에는 병세가 악화되며 재상고마저 포기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특별사면을 염두에 둔 조치 아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CJ제일제당은 올 초 그룹 차원의 바이오산업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중국 바이오기업 매화그룹 인수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 이를 두고 CJ 안팎에선 전문경영인 체재의 한계점과 이재현 회장의 공백이 드러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오리온은 담철곤 회장의 광복절 특사를 기대하고 있지만 최근 잇단 악재로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담 회장은 지난 2013년 4월 대법원에서 300억 원대 횡령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면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 형을 받고 풀려났다. 현재 형기의 절반이 지나 특사 요건을 갖추고는 있다.
 
그러나 최근 측근으로부터 1500억원대 민사소송에 휘말리는가 하면, 오리온 계열사 전 임원들의 비리 폭로 속에 담 회장의 사면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진성서까지 제출되는 등 악재와 마주해 사면 가능성이 희박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눈길을 끄는 것은 오너들이 광복절 특사 대상으로 거론되는 기업들 대부분이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른바 '경제 살리기'라는 미명 아래 재벌가 오너들의 특사가 과도하게 남용됐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던 점이 이 같은 분위기를 만든 것으로 풀이된다.
 
재계 관계자는 "경제사범 특사의 경우 상당히 민감한 사안인만큼 사면 대상으로 거론되는 오너들이 자유의 몸이 될 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업들 입장에선 오너의 공백과 경영현안이 맞물린 경우가 많아 숨죽여 오너의 귀환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김승연 한화 회장, 이재현 CJ 회장, 담철곤 오리온 회장. (사진=뉴시스·오리온)
 
이광표 기자 pyoyo8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