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경기부진 속에 대기업들의 고용도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 CEO스코어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30대 대기업 계열사들의 고용 증가는 800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기업들의 총 고용인원 100만명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고용 증가는 현대차 그룹(5479명)과 신세계(3617명), 효성(1065명) 등 일부 대기업에 집중돼 있었으며 직원 수가 줄어든 그룹도 11개나 됐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도 겨우 55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기업들은 글로벌 사업환경이 불확실하고 내수 시장 침체가 장기화돼 어쩔 수 없는 결과라고 항변한다. 생존과 체질강화를 위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했다는 이유도 내세운다. 경영환경은 당분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으니, 당분간 획기적인 고용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광복절을 전후로 대기업들이 잇따라 발표한 청년 고용창출 대책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재계가 내놓은 계획에 따르면 올해부터 2017년까지 10대그룹에서만 최대 8만명을 신규 채용하는 것으로 돼 있다. 삼성그룹이 2년간 3만명의 청년 일자리를 마련하고 SK도 내년부터 2년간 4000명의 인재를 육성하는 한편 2만명에게 창업교육을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9500명 신규채용을 확정한데 이어, 연간 최대 1000개 이상의 청년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1년간의 고용 증가실적과는 지극히 대조적이다. 과연 재계는 어떤 묘수를 통해 청년 고용을 창출한다는 것일까. 이미 공언한 대로, 임금피크제 도입이 첫 단추가 될 것이다. 아울러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뒤따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조선업계를 시작으로 대규모 감축이 예정돼 있으며 향후 다른 업종으로 확산될 전망도 높다. 정부와 약속한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기존 일자리가 위협받는 시나리오다.
아울러 8만명이라는 인원이 모두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는 것도 또다른 맹점이다. 대기업들이 내놓은 방안에는 직접 고용이 아닌 직업훈련 및 인턴십 확대 등도 포함이 돼 있다. 인턴이 끝난 이후에 어떻게 고용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방안이 제시돼 있지 않다. 현 정부 임기가 끝날 무렵에 청년고용 대책이 흐지부지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부진한 고용증가와 향후의 대규모 고용창출.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지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대기업들이 내놓은 청년고용 창출방안에 대해 의구심만 높아진다.
손정협 산업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