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정부가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을 10개 분야로 재편하고 원천·기반,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 등 4개 분야에 R&D를 집중한다. 지난 5월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R&D 투자에 연간 4조원을 쏟아 붓겠다고 발표한 이후 전략적 투자를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을 수립한 것이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을 결합한 정밀의료 기술 발전 등으로 장밋빛 전망이 나오는 바이오헬스 시장에서 신산업 부흥을 이루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8일 바이오헬스 R&D 투자에 대한 구체적 실천전략을 발표했다.
세종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 위치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뉴시스
이번 전략 발표에 따라 바이오헬스 R&D 분류체계가 뇌과학·바이오융복합·신약·의료기기·줄기세포·유전체·임상보건 등 기존 7개 분류에서 10개 분야로 조정된다. 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을 활성화하고 규제합리화를 지원하기 위해 산업혁신·규제과학 분야를 새롭게 설정했으며, 바이오헬스 분야에 활용 가능한 원천연구 및 기반기술 연구를 위한 원천·기반연구 분야는 기존 뇌과학 분야를 포함해 신설했다. 기존 신약, 줄기세포 분야는 각각 의약품, 재생의료 분야로 변경해 그 범위와 폭을 넓혔고, 기존 유전체 분야를 재구성해 헬스케어서비스와 생명자원·정보인프라를 신설했다.
이에 따라 향후 바이오헬스 R&D투자는 △미래 대비 기초·융합 연구(원천·기반연구, 바이오융복합) △혁신적 바이오헬스 산업생태계 조성(의약품, 의료기기, 재생의료) △국민 삶의 질 향상(헬스케어서비스, 임상·보건) △혁신기반 조성(산업혁신·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 생명자원·정보인프라) 등 10개 분야로 분류된다.
4개 분야의 주요 R&D 투자전략. 자료/과기정통부
정부는 이 가운데 원천·기반연구,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 등 4개 분야에 맞춤형 투자 전략을 우선 지원한다. 이후 내년 나머지 6개 분야에 대한 세부 투자 전략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생명현상연구, 질환극복연구, 바이오신기술 등 3개 세부분야로 구성된 원천·기반연구 분야는 논문·특허 등의 기초연구 성과를 원천기술로 고도화시킬 수 있는 연계 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질병의 기전 규명 및 질환극복을 위한 신규 타깃 발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에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신개념·신기술 R&D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의약품 분야는 후보물질 도출, 의약품 개발, 공통기반 등 3개 세부분야로 구성된다. 신규 핵심타깃 검증과 초기 파이프라인 발굴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차세대 첨단바이오의약품 원천기술 등의 혁신기술 개발과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등 국내 임상역량 확충을 지원할 예정이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역량 및 범부처 협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임상 전문가 컨설팅 및 네트워킹 등 기업의 애로영역 해소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투자한다.
헬스케어서비스 분야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 활용 및 서비스 2개 세부분야로 구성된다. 개인 중심의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구축이 가능하도록 헬스케어 빅데이터 표준화·보안기술 등의 공통 플랫폼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아울러 헬스케어 분야 빅데이터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실증연구 및 디지털치료제와 같은 신기술 영역 개척,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범서비스 등을 발굴·지원할 예정이다.
산업혁신, 규제과학 분야는 오픈이노베이션 구축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 국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생산장비·원부자재·차세대 의료소재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바이오헬스 기술에 대해 차별화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차세대 핵심기술에 대한 평가기법 마련, R&D 기획 단계부터 기술·규제 정합성 검토 등 신의료기술 등이 적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인·허가 및 규제개선 연구도 지속할 방침이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글로벌 트렌드와 우리 바이오헬스의 현황 분석,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주요 분야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투자전략을 마련한 것"이며 "향후 바이오헬스 분야의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으로 활용해 사업을 담당하는 관계 부처가 적극적으로 공백영역 발굴, 신규사업 기획 등을 추진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