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의 역설)③성공의 열쇠는 '준비'..정부지원 부족 여전
10가구 중 1가구 꼴 2년 내 실패
귀농 정보서비스 서울 편중 심각..지방분산화 필요
2015-03-25 22:39:20 2015-03-25 22:39:20
[뉴스토마토 방글아기자] "귀농이나 할까" 하는 마음으로 쉽게 농촌으로 갔다가는 빚만 떠안고 돌아오게 되는 등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귀농·귀촌의 성공 열쇠는 준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귀농·귀촌을 앞둔 초보 귀농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초기 탐색단계에서 요구되는 주요 정보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국내 귀농가구의 절반 이상이 행정 서비스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25일 농정연구센터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2~3년 전 귀농·귀촌한 10가구 중 1가구 꼴은 첫 이주지역에서 정착하지 못 하고 다른 곳으로 재이주했다. 이들 중 80%는 작물 변경 등의 이유로 다른 농촌으로 터를 옮겼고, 20%는 농업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도시로 돌아왔다.
 
◇없는 돈에 막연한 준비..귀농 실패로 이어져
 
생애 첫 귀농·귀촌이 실패로 돌아가는 주요 원인으로 충분하지 않은 자금과 세밀하지 못한 계획이 지목된다. 
 
귀농 후 농산물을 생산해 수익을 거두기까지 최소 4개월에서 길게는 4~5년이 소요되는데, 확실한 수입원 없이는 이 기간을 견뎌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상당수 귀농인이 2억원 미만의 자금으로 귀농에 뛰어드는데, 이 돈으로는 땅 사고 집 짓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며 "여윳돈이 없는 상태에서 소득이 없는 이주 초기 기간을 못 견디고 중도 포기하는 사례가 꽤 된다"고 말했다.
 
'풍문'에 의존한 작물 선택 또한 지양해야 할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인기가 많았던 귀농작물은 채소와 과수였다. 그런데 귀농인들 가운데 상당수는 구체적 정보 보다 막연한 예측 등에 기대 작물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 귀농한 곳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재이주해야 했던 사유 1순위로 작목 변경이 꼽힌 것도 이 때문이다. 도시로 역귀농·귀촌한 사유 1위도 막연한 예측과 달랐던 농업 노동의 어려움인 것으로 분석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작물로 인기가 높은 버섯만 하더라도 식용과 약용으로 나뉘는 등 품종이 매우 다양하고 품종에 따라 작법과 유통 방식이 다른데, 많은 귀농인들이 단순히 '버섯 농사를 짓겠다'는 식으로 영농 계획을 짠다"고 말했다.
 
◇지원 늘지만 수도권 편중 여전..지자체별 다양성 반영해야
 
귀농 단계는 크게 귀농 전인 희망기 및 준비기와 귀농 후인 귀농 초기·중기·정착기 등으로 나뉜다. 농식품부는 희망기와 준비기 동안 ▲탐색 ▲가족합의 ▲교육 ▲영농기술 ▲정착지 물색 ▲주택·농지 구입 ▲영농계획 수립 등 7단계에 이르는 치밀한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런데 정작 귀농 준비 첫 단계에 대한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귀농가구의 절반 이상인 52%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외 가구임에도 정부의 지원은 서울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정부의 귀농·귀촌 정보서비스 기능이 서울에 있는 귀농귀촌종합센터에 쏠려 있다.
 
전남발전연구원 등 지자체 연구기관들은 여기에 모인 정보가 지자체 곳곳으로 나눠져 관리·운용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부는 효율화와 행정 편의의 등을 이유로 '원포인트' 센터를 서울에 두고 운영 중이다.
 
오병기 전남발전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은 '수도권 출향민 베이비붐 세대 귀농·귀촌 지원 10대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귀농·귀촌종합센터는 작물과 영농기술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해 지자체별로 특성화된 정보가 부족하다"며 "단순 일방향성 정보를 제공하는 바람에 방문자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찬가지로 매년 농식품부가 개최하는 귀농귀촌 창업박람회도 서울 강남구 소재의 무역전시장(SETEC)에서 열린다. 전체 귀농인의 절반 이상에게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수도권 외 지역에서 귀농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을 받기 보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접한 단편적 정보에 의존해 생애 첫 귀농 계획을 짜고 있는 실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앙정부의 지원이 미치기 어려운 곳에는 지자체 차원의 별도의 보완책이 마련돼 있다"면서도 "다만 지자체별 귀농 대책은 지자체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게 반영돼 지자체마다 많은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자료=농림축산식품부)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