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정부가 신규 분양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건설사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 분양물량을 계획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설사의 자체신용으로 분양물량에 대한 신용보강에 나서야 하지만 이 경우 재무 리스크가 확대돼 신용등급이 하락할 우려가 있어서다.
건설업이 정부의 다음 구조조정 타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공급과 신용강화 사이에서 고민하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
28일 정부는 분양보증 및 중도금 대출 보증제도 개선 등을 담은 '2016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오는 7월1일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1인당 중도금 대출 보증건수는 최대 2건, 보증한도는 수도권·광역시 6억원, 지방 3억원으로 개선된다.
그동안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했던 신규 분양 시장에도 중도금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설업계는 분양시장이 주춤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선제적 구조조정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신용등급 관리에 집중하는 시기에 악재가 겹쳐지면서 올해 연간 주택공급물량이 당초 예상보다 5만가구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건설사들은 중도금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택공급과 신용강화를 놓고 셈법이 복잡해졌다.
기존 계획대로 분양물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설사 자체 신용을 담보로 중도금 대출 보증에 나서야 하는데 이 경우 우발채무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어 구조조정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A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주거용 오피스텔에 대해서는 이미 건설사가 자체 신용을 통해서 집단대출에 대해 신용보강을 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상황에서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걱정이 없고 현금흐름이 양호한 곳은 몇 군데 없어 자체 신용을 담보로 대출 보증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이같은 우려의 배경에는 금융권의 돈줄 죄기와 과거 PF대출로 인한 리스크 확대 경험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회사채 발행 또한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설사들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신용등급 관리를 위해 주택공급을 줄일 경우에도 향후 매출과 수익성 감소라는 딜레마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브렉시트에 따른 저유가 장기화로 해외수주 시장이 더욱 침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동안 건설사를 지탱해주던 국내 주택사업마저 수익성이 악화될 경우 기업경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어서다.
올해 분양이 완료되면 준공까지 최소 1~2년치 일감은 확보할 수 있지만 분양물량을 줄일 경우 향후 일감이 감소해 이를 메울만한 다른 사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의 공공발주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해외수주 시장 또한 만만치 않은 상황이어서 주택시장 외에 기댈만한 곳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한편 신규 분양 시 자체 신용을 통한 대출 보증이 가능한 대형사와 그렇지 못한 중소건설사와의 양극화도 더욱 심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형사에 비해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건설사의 경우 제도권 금융에서 돈을 빌리기는 더욱 어려운 반면 자체 신용을 통한 보증도 어려운 경우가 많아 분양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정부가 신규 분양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건설사들이 신규 공급과 신용강화의 기로에서 고심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에 위치한 아파트 건축 현장. 사진/뉴시스
최승근 기자 painap@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