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16일 첫 선을 보인 메타버스 서울은 공공행정을 가상현실로 구현해 행정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메타버스는 주로 ICT 기술의 발전을 가상현실 속에서 증명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초기 단계의 메타버스는 대부분 낮은 화질의 가상공간 속에서 1차원적인 의사소통이나 유명 공간을 이미지로 구현하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메타버스 서울은 20억원이라는 비교적 저렴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상대적으로 고화질로 서울시청 청사 내·외부와 서울광장, 핀테크랩, 서울 10대 관광명소 등을 구현했습니다.
가상현실에 이식한 '공공행정'
특히, 메타버스 서울에서는 단순한 의사소통이 아니라 경제·교육·세무·행정·소통 등 공공행정의 기능이 가상현실에서도 가능합니다. 도시의 공공행정이 가상현실로 구현된 건 국내를 넘어 세계 최초입니다.
회의실에서 기업 대표와 미팅을 하거나 등본을 뗄 수도 있고, 청소년들을 위한 멘토링, 세무상담, 민원 제기 등 현실에서만 가능했던 일들을 가상현실로 옮겨왔습니다.
지난해 최초 모델 구축과 시범사업 단계부터 하버드·MIT대학, 맥킨지앤드컴퍼니, 독일 연방의회, 밴쿠버시, 영국 특허청 등 20개 해외 여러 기관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태리 국영방송 RAI, 싱가포르 국영방송 CNA 등 다수 해외언론에서 취재했으며, 미국 타임지는 ‘2022 최고의 발명(The Best Inventions Of 2022)’으로 메타버스 서울을 선정했습니다.
이는 메타버스 서울을 통해 ICT 분야에서 서울이 세계의 테스트 베드로 활약한 것을 뛰어넘어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선구자)로 도약할 계기로도 꼽힙니다.
뇌과학자인 장동선 박사는 “서울시가 공공 분야에서 메타버스 도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는 퍼스트 무버의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고도화가 필요하다. 메타버스만의 장점을 살린 콘텐츠를 도입해 나간다면 지금보다 발전된 메타버스 서울을 시민들에게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은 콘텐츠, 디지털 취약계층 품어야
반면, 지속가능한 콘텐츠 제공은 서울시가 갖고 있는 숙제입니다. 기존의 메타버스들은 대부분 기술 구현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재방문율에 취약해 주로 이벤트 용도로 활용됐습니다.
메타버스 서울이 이를 넘어 일상적인 공공행정 플랫폼의 역할을 하려면 시민들을 지속적으로 끌어올 수 있는 콘텐츠 제공이 필수적입니다.
게다가 메타버스 서울의 동시접속자 한계는 3000명에 불과합니다. 결국, 메타버스 서울이 서울시민과 예비 관광객 등을 소화하려면 매력있는 콘텐츠를 포함한 서비스 고도화가 필요합니다.
퍼스트 무버로서 향후 예상되는 국내 지자체와 산하기관들의 메타버스 난립현상을 막으려면 운영 가이드라인도 필요합니다. 성범죄, 언어폭력, 정보범죄 등을 막기 위한 대책도 요구됩니다.
메타버스 서울의 등장과 함께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키오스크 작동도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에게 메타버스 활용은 더 접근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향후 메타버스 서울이 더 활성화된다면 디지털 취약계층을 배려한 서비스 출시나 이용방법 개선도 필요해 보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연세 드신 분들은 굉장히 생소하고 심리적으로 저항이 있을 수도 있고 적응하는 데 상당히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이지(Easy)버전을 2단계로 준비해 할용이 되기 시작하면 디지털 세계에 불편함을 느끼시는 연령대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타버스 서울을 통해 민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습. (사진=서울시)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