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보연 기자]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연체율이 2%대에 달해 금융권 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PF 연체율이 오른 것은 맞지만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고, PF대주단 협약을 통해 사업장 10곳 중 8곳의 정상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PF 시장 및 대주단 협약 가동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금융위는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2.17%로 지난해 말 1.19%였다가 지난 3월말 2.01%로 2%대로 처음 올라섰다고 밝혔는데요. 3개월 사이 0.16%p 추가로 뛰었습니다. 지난해 말 1.19%에서 지난 3월말 2.01%로 연체율이 큰 폭(0.82%p)으로 증가했던 점을 감안할 때 상승 추세가 크게 둔화됐습니다.
업권별 연체율을 보면 PF 대출 부실 우려가 가장 큰 증권사가 6월 말 기준으로 17.28%로 지난 3월 말 15.88% 이후 1.40%p 더 올랐습니다. 증권사 PF 대출 잔액은 6월 말 기준 5조5000억원인데요. 대출 규모가 다른 업권 대비 작기 때문에 일부 사업장에서 부실이 발생하면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는 구조입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연체대출 규모가 9000억원 수준으로 자기자본 78조2000억원 대비 1.2%에 불과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같은 기간 은행권 연체율은 0.23%로 올랐고, 보험은 0.07%p, 저축은행은 0.54%p, 상호금융은 1.03%p 올랐습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PF 대출 관리와 함께 부동산 시장에 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들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개입니다.
이 중 152개 사업장에서 기한이익 부활, 신규자금 지원, 이자유예, 만기연장이 이루어지는 등 PF 사업장의 정상화·연착륙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나머지 사업장들은 사업성이 없거나 시행·시공사와 대주단 간 손실 부담이 부족해 공동 관리가 부결되거나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습니다.
사업 진행단계별로는 브릿지론이 144개로 전체 협약 중 77.0%를 차지하는데요. 본PF 대비 이해관계자 간 조정 필요성이 큰 브릿지론에 PF 대주단 협약이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4개(경기 44개, 서울 24개, 인천 16개), 지방 103개에 협약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용도별로는 주거시설(114개)이 가장 많았고 상업시설, 산업시설, 업무시설, 기타시설, 숙박시설 등 다양한 사업장이 적용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달 안에 금융당국은 1조원 규모의 캠코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도를 가동하는데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부동산 PF 사업장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제고와 이를 전제로 한 신규자금 투입이 부동산 PF 시장의 정상화와 원활한 주택공급에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방안을 이달 말 정부합동 주택공급확대 관련 대책에 포함하여 발표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기재부·국토부·한국은행·금융지주 등과 함께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금융위원회)
김보연 기자 boye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