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영화 관람료 비싸도 너무 비쌉니다
. 그래서 그런지 영화관에 관객이 없습니다
. 국내 콘텐츠 시장 현황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
’인 성수기 영화 관객 수
. 지난 추석 연휴
, 처참했습니다
.
저는 OTT의 국내 안착 실패를 확신했던 1인입니다. 그런데 제 예상과 달리 너무도 온전히 안착했습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집에서 소비하는 영화’가 익숙해졌고, 콘텐츠 자체도 너무 재미있게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영화관에 갈 이유, 그게 사라지게 된 배경입니다. 콘텐츠 시장 주류 플랫폼으로 지위를 유지해온 영화관은 이런 변화에 적응해야 했습니다. 변화의 흐름을 읽고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모습을 보면 너무 무성의합니다.
어떻게 하면 관객들을 다시 영화관으로 불러들일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 안 보입니다. 그래서 제가 대신 고민해 봅니다. ‘영화관’이 주는 즐거움이 분명 있는데, 어떻게 하면 그 즐거움을 유지한 채 계속 관객들을 만족시킬까.
먼저 관람료 인하로 문턱을 낮추는 방법입니다. 현재 영화 관람료는 일반관 평일 기준 1만 5000원. OTT 한 달 구독료보다 비쌉니다. 가격 경쟁에서 외면 받지 않으려면 1만원 밑으로 내리면 좋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제로입니다. 1000원 인하도 불가능해 보입니다.
사실 관람료 문제만은 아닙니다. ‘가치가 있다’ 느끼면 소비자는 커피 한 잔, 케이크 한 조각에 1만 5000원이라도 지갑을 엽니다. 지금 영화관이 외면당하는 이유, 상영 영화에 1만 5000원의 가치가 없다 느껴서 일 겁니다.
시장의 제작사들은 여전히 스크린 영화를 국내 콘텐츠 시장의 주류, 다시 말해 1순위(일종의 리딩오프)로 여깁니다. 하지만 대중의 소비 측면에서 보자면 이제 스크린 콘텐츠는 2순위 혹은 3순위일 뿐. OTT 콘텐츠 대비 재미가 없어도 너무 없습니다. 관객 수가 이를 증명합니다. 흥행은 고사하고 손익분기점조차 넘기지 못한 영화가 올해 개봉 영화의 90% 가량입니다. 이런 현상을 단순히 관람료가 비싸단 걸로 ‘퉁’치겠단 건 제작사들의 교만이자 핑계로만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해법은 영화관과 OTT의 상생입니다. 영화관에서 ‘무빙(디즈니+)’을 보고 극장에서 ‘오징어 게임(넷플릭스)’을 볼 수 있단 상상. 예상 밖으로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영화 배급 시장을 휘어잡고 있는 국내 메이저 투자 배급사 경쟁 상대로 글로벌 OTT뿐 아니라 토종 OTT까지 적극적으로 시장에 유입시켜 상생과 공생의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환경이 갖춰지면 대기업이 독점 중인 영화 시장 수직 계열화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되고 관람료를 낮추지 않고도 ‘가치 있는 관람’을 위해 영화관을 찾는 관객도 늘어날지 모를 기대감을 가져 볼만 합니다.
안일한 생각으로 지금의 위기를 넘어서기엔 현재가 돌이킬 수 없는 지점에 이르게 된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판 자체를 뒤엎어 버릴 모멘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영화관은 지금부터라도 진지하면서도 반드시 고민을 시작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또한 영화관의 러브콜이 있다면 OTT도 분명 화답해야 합니다. 둘의 상생 포인트는 같은 시장 안에서의 동등한 경쟁 뿐입니다.
김재범 대중문화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