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간접흡연 줄면서 소변 중 니코틴 대사체 농도도 '뚝'
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 발표
입력 : 2016-02-04 오후 3:40:15
우리나라 성인의 혈액과 소변에서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조사한 결과, 3년 전보다 소변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류 등 11종은 낮아졌으나 혈액 중 납 등 4종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400개 읍·면·동 성인 6500명을 대상으로 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4일 밝혔다. 분석 대상은 혈액과 소변 중 21종의 환경유해물질 농도였으며, 노출요인 파악은 설문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 결과 혈중 납은 1.94µg/dL로 지난 조사(1.77µg/dL) 때보다 9.6% 증가했으나, 과거 10년간 경향을 고려하면 변동폭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수은은 3.11µg/L로 지난 1기(3.08µg/L)와 비슷했고, 건강위험성이 예상돼 노출 저감노력이 필요한 초과자(독일 건강영향 권고값 HBM-II)는 121명에서 88명으로 감소했다. 혈중 수은 농도의 경우 미국(2015년 0.86μg/L)과 캐나다(2015년 0.79μg/L)보다는 높았으나 우리와 식습관이 비슷한 일본(2011~2015년 8.5μg/L), 홍콩(2006년 3.65μg/L)보다는 낮았다. 소변 중 수은과 카드뮴은 모두 0.38µg/L, 0.38µg/L로 1기 조사 때보다 각각 28.3%, 34.5% 감소했다.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알려진 비스페놀-A의 소변 중 농도는 지난 조사에 비해 약 1.5배 증가(0.75 → 1.09µg/L)했으나, 미국·캐나다와 비교해 높지 않았고 지난해부터 강화된 건강영향 권고값(HBM-I)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컵라면, 캔음식 등 가공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다른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대사체(MEHHP+MEOHP) 농도는 29.6µg/L로 지난 조사보다 18% 낮아졌으며, 독일 건강영향 권고값(HBM-I 750µg/L)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프탈레이트 대사체류는 지난 조사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 이는 2010년 환경부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벤질부틸프탈레이트(BzBP)를 유독물질로 지정하고, 식약처도 식품보관용 용기에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직접 또는 간접흡연에 의해 나타나는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 대사체, 5.5µg/L) 농도는 지난 조사(11.3µg/L)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설문 결과에서도 직접흡연이 22.5%에서 17.9%로, 간접흡연도 21.3%에서 15.2%로 감소했다. 이 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내 흡연율 조사 결과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012년 금연구역 지정·확대 등 정책 시행의 효과로 보인다.
 
유승도 환경보건연구과장은 “지난 조사에 비해 체내 일부 환경유해물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보건 정책 추진과 국민 인식 변화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찰과 함께 원인 파악을 위한 노력을 통해 환경유해물질 노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지영 기자 jiyeong8506@etomato.com
 
직접 또는 간접흡연에 의해 나타나는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 대사체, 5.5µg/L) 농도는 지난 조사(11.3µg/L)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사진). 사진/뉴시스
김지영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