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크게 작게 작게
페이스북 트윗터
기후변화가 이야기하는 것들
입력 : 2015-11-05 오전 6:00:00
일반인에게는 막연하게만 들리는 기후변화가 연일 매스컴을 장식하고 있다. 오바마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오바마와 박근혜 대통령, 오바마와 모디 인도 총리 간 회의에서도 기후변화는 핵심주제이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연일 기후변화에 대한 각국의 책임과 행동을 촉구하고 있으며, 신속한 기후변화 협상을 촉구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모든 행보에서도, 과학계와 환경단체의 분발을 강조하는 김용 세계은행(WB) 총재의 열변에서도 기후변화는 초미의 화두이다.
 
온실가스(이하 '탄소') 남발로 인해 지구가 더워지고 남극의 빙하와 알프스 빙벽이 줄었다고 해서, 어디엔 홍수가 나고 어디엔 가뭄이 들었다고 해서 당장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들 호들갑인지 의문을 가질 법하다. 그 이유는 인류의 지속적 생존을 위해 의식과 생활을 개선해야 한다는 당위와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한 경쟁국간의 공동기반 상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상대를 견제해야 하는 생존플랫폼임이기 때문이다.
 
미국과 EU는 세계경제 주도권을 놓고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을 승부수로 활용하고 있다. EU가 탄소배출 1위 국가인 중국의 탄소감축의무를 서두르지 않는 것은 중국이 탄소를 더 배출하더라도 좀 더 성장해 EU와 함께 미국을 견제하기를 바라는 것이고, 미국이 2017년 중국의 탄소배출권거래제 실시를 유도한 것은 중국의 성장을 더디게 하면서 EU의 계획을 무산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그에 따른 보상으로 미국은 다른 선물을 약속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기후변화가 국가 간 분쟁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기후변화로 인해 10년 안에 물과 식량을 둘러싸고 전쟁이 벌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사막화, 에너지 부족, 해수면 상승 또한 각종 분쟁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오바마는 올해 5월 미국 해안경비 사관학교 졸업식에서 졸업생들이 맡아야 할 책무가 기후변화로 파생되는 재난에 대응하고 난민을 구제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는데,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가 간 분쟁에 대비하라는 우회적 표현임을 주목해야 한다.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는 모든 국가가 탄소감축의무를 지는 2020년 이후를 논의함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각국 정부가 해야 할 주요 결정, 예를 들어 각국이 제출한 탄소감축목표치 등에 대한 심사가 이루어진다. 탄소배출 7위 국가인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감축량이 너무 많다고 불만을 토로하지만 이번 총회에서는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탄소를 37% 감축하겠다는(실제로는 25.7% 감축. 11.3%는 다른 국가의 감축분을 구입) 대한민국 감축안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더 줄이라는 강력한 주문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탄소감축 목표치를 강화할 게 분명한 이번 총회 결과에 따라 화석연료 기반산업의 쇠락 속도가 달라지고 녹색산업군의 성장에 따른 산업재편 정도가 달라질 것이다.
 
더불어 경제적 편의와 생태윤리가 맞설 때 어찌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사회적 고민과 철학이 필요하다. 중국제품이 싸다지만 같은 기능의 물건이 턱없이 저가라는 것은 탄소저감 R&D를 게을리 한 측면도 크다는 점을, 친환경적 제품으로 선회하는 기업의 논리는 자연을 파괴한 반성이 아니라 단지 돈벌이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결국 우리 스스로의 변화와 행동만이 치유의 지름길이라는 점을 통감하여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올해 6월에 발표한 회칙 'Laudato Si(찬미를 받으소서)'에서 자연과 사회의 통합적 생태학과 생태학적 회개를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모든 걸 차치하고, 최근 100년 동안 지구는 평균 0.89°C 상승하였으나 몽골은 2.1°C 상승하였다. 몽골은 그로 인해 전 국토의 90%가 사막화 되었다. 같은 기간 한국은 1.8°C 상승하여 몽골 다음으로 온난화가 진행되었다. 지금의 추세라면 지구 평균 2°C 상승은 코 앞이고 6°C 상승은 지구 모든 생명체의 멸종을 의미한다. 기후변화 대처는 내일로 미룰 수 없을 만큼 긴급하다. 우리의 행동을 보다 구체화할 때이다.
 
송상훈 (사)푸른아시아 전문위원
 
손정협 기자


-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