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포스코 노동조합과 정치권이 최근 잇따랐던 작업장 내 노동자 사망사고와 방만 경영의 책임을 물으며 최정우 포스코 회장 연임에 강하게 제동을 걸고 있다. 이들은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서만 포스코가 변화할 수 있다며 현재의 강압적인 노사 문화부터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3일 정의당 강은미, 더불어민주당 노웅래·윤미향 의원과 전국금속노동조합은 국회 본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최정우 회장의 연임을 저지해 새로운 포스코를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포스코는 최근 작업장에서 연이어 노동자 사망사고 나며 중대재해처벌법 1호 기업이 될 위기에 처했다. 노조에 따르면 2018년 7월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매년 사망사고가 발생해, 최소 16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2018년부터 2019년에 9명이 사망했고, 2020년 이후 11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은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현장을 방문하고 안전 투자비도 늘리겠다고 강조했지만 노조는 현실과는 뒤떨어진 미봉책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김찬목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장은 이날 "최 회장은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이후 향후 3년간 1조원을 추가 투입해 △안전관리 요원 2배 증원 △임직원 안전역량 제고를 위한 안전기술대학 설립 등을 발표했다"면서 "지금도 안전관리요원은 600여명에 달하는 데 이게 중요한가"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 회장이 촉탁직과 계약직 노동자를 해고해 2인 1조 작업이 안되는 게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포스코는 비상경영의 일환으로 3년간 하청노동자의 15% 인원을 감축했다.
근무 현장의 강압적인 분위기와 함께 노후 설비도 산재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문길주 전남노동권익센터장은 "1970년에 조성된 제철소는 30~40년이 된 노후 설비"라며 "최근 제철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중대재해 사고는 시설의 노후화, 정비 보수의 소홀, 안전관리 감독의 부실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 토론회. 사진/뉴시스
이에 대해 이지우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간사는 "설비유지 보수에 대한 과감한 투자(노후설비 교체)를 해야 한다"며 "정부는 설비유지 보수에 대책이 필요하다. 한 부처가 아닌 노동부, 환경부, 행정안전부, 지자체가 참여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센터장은 포스코 노동자들의 경우 산재 인정을 받기도 어렵다며 "광양제철소에서 산재 신청을 하려면 입증할 자료가 없고 자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포항제철소도 비슷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포스코는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노동자에게 징계하는 조항이 있다"며 "대부분 노동자는 징계조항 때문에 산재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비슷한 재해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산재 은폐가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포스코의 환경오염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박수완 광양만 녹색연합 사무국장은 "지난 30년 동안 광양제철소는 성과를 거두는 과정에서 연간 1만9668톤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며 국내의 배출사업장 중 3위를 기록했다"며 "대외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지만 광양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책임을 회피하거나 사실 여부 확인에 대해 미온적"이라고 말했다.
강은미 의원은 최근 3년간 최소 75건의 재해사고가 이어졌고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하다며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기업을 배불리는 상황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