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최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공장가동 중단, 감산 등에 나서고 있다. 게다가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율이 2%에 불과한 현실을 감안해 국내 자동차와 반도체 기업 간 협력으로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8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K-모빌리티 글로벌 부품수급 동향 및 대응방향 세미나’를 개최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차량용 반도체를 98%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공급부족 사태로 자동차 기업들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는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차량용 반도체 등 비메모리 반도체 개발·생산에도 힘써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권 부회장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망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물량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면서 “자동차 제조사와 반도체 기업 간 협력을 통해 국산화율을 높여야 대외환경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이 28일 K-모빌리티 글로벌 부품수급 동향 및 대응방향 세미나'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전경련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운영위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자동차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과제’ 발표를 통해 “자동차 부품업계는 지난해 자동차생산 급감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으며, 올해도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로 여타 부품의 연쇄적인 조업차질이 발생하면서 유동성 문제가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K-모빌리티 발전과제로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동차와 반도체 업계 간 협업 생태계 조성,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대, 미래차 연구개발(R&D) 지원, 노사관계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K-모빌리티와 향후 전장부품산업 전망’ 발표에서 “미래차 전장부품 비중이 내연기관차의 두 배가 넘는 70%까지 증가할 전망이지만 국내 1만여개 부품업체 중 전장부품업체 비중은 5%에 불과하다”면서 “특히 세계적인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체는 전무하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미래차 연관산업인 자동차, 전기전자와 소프트웨어 3개 산업의 연구개발 투자액을 비교해보면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자동차산업 연구개발 투자 규모는 독일 60조원, 일본 45조원, 미국 23조원, 중국 12조원 수준으로 한국(8조7000억원)보다 많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및 향후 전망’ 발표를 통해 “경제성을 갖춘 최신 공정은 민간이 주도하고 인프라 성격을 지닌 오래된 공정은 투자 인센티브를 주어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은 반도체를 핵심 인프라로 선언했는데, 한국도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역량과 생태계를 키워야 한다”면서 “차량용 반도체는 주문에서 입고까지 소요시간이 12~16주가 걸리는데 주문 폭주로 26~39주로 늘어나면서 당분간 타이트한 수급이 뉴 노멀이 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