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1년 우유업계, "이제 원유 남아서 처리가 골치"
원유생산 쿼터 연장으로 생산량 늘고 우유소비는 줄어
가공식품 재료 탈·전지분유는 할당관세 물량에 밀려
2012-04-24 14:37:15 2012-04-24 16:54:41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구제역으로 원유 수급에 비상이 걸린지 1년. 불과 1년이 지나자 넘치는 원유 때문에 남는 원유처리를 놓고 우유업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구제역 당시 정부와 전문가들은 족히 2년은 지나야 구제역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원유 생산량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평년 수준의 10%가량 생산량이 늘어 재고 물량이 쌓이고 있는 것.
 
여기에 지난해 원유가격이 리터당 138원 상승하면서 우유가격이 인상되고 우유 대체재인 두유 소비가 증가하면서 갈수록 우유를 찾는 소비자들이 감소하고 있는 점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24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올 3월 하루 평균 원유생산량은 5876톤 정도로 구제역 이전인 2010년 같은 기간 평균 생산량 5883톤에 거의 근접했다. 이달의 경우 평년보다 5% 가량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우유 생산량 1위 업체인 서울우유의 경우 지난해 3월 하루 평균 1350톤 가량의 원유를 생산했지만 올 3월에는 평년 수준을 상회하는 1950톤 정도로 생산량이 증가했다.
 
남양유업(003920)이나 매일유업(005990), 빙그레(005180) 등 다른 유업체와 달리 서울우유는 우유 매출이 전체의 80%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때문에 이 같은 원유 과잉 공급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다른 가공식품과 달리 원유는 보관성이 좋지 않아 대부분 유업체들은 과자나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탈지분유나 전지분유로 가공해 보관한다. 이렇게 분유 제품으로 가공하면 원유 상태로 보관하는 것 보다 저장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으로 할당관세를 적용받는 수입 탈지분유와 전지분유로 인해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구제역 당시 흰우유 수급안정을 우선적으로 추진해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탈지분유와 전지분유 공급을 중단, 거래처가 변경된 곳도 적지 않다.
 
이때 제과, 제빵업체들이 수입제품으로 바꾼 이후 아직 거래선이 회복되지 않아 소비가 평년보다 감소했다.
 
서울우유에 비해 남양유업이나 매일유업은 자사에서 생산하는 발효유 제품이나 자사에서 운영하는 외식업체가 이를 소비해 적정 수준을 지키고 있지만 우유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서울우유는 난감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상황이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원유가 인상으로 낙농가의 생산의욕이 높아진데다 구제역으로 인해 원유 생산 쿼터가 올해 말까지 해제됐기 때문이다.
 
원유 생산 쿼터제는 정해진 물량 이상 원유를 생산할 경우 초과 물량에 대해서는 정상가의 절반 수준으로 매입해 원유 생산량을 관리하는 제도다.
 
업계 관계자는 "당초 예상과 달리 구제역 피해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원유 재고물량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에 생산량이 증가하는 계절적인 요인도 있다"며 "정체된 우유시장을 극복하는 것이 유업계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