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승원기자] 벤처캐피탈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를 위해 창업가와 투자자가 수시로 만나 소통하는 장소(코어워킹 플레이스)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한, 엔젤투자와 벤처투자에 대해 소득공제 등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은행과 보험 등 민간 자금이 펀드에 자금을 출자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사진=금융위원회)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기업가정신센터(D.Camp)에서 '벤처캐피탈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개세미나'에서 고영하 엔젤투자협회 회장는 "엔젤투자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창업가와 투자자가 수시로 만나는 소통의 통로인 코어워킹 플레이"라며 "올해 디켐프가 만들어졌지만, 이미 포화상태로 정부에서 이러한 공간을 추가로 만들어달라"고 호소했다.
문규학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 역시 "우리나라와 미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인프라만 좋을 뿐 조사, 규제, 시장, 자본, 사람, 문화 등 나머지는 저급한 수준"이라며 "지난 2000년 벤처가 활성화될 당시 사람을 모으게 하는 인큐베이션이 많았지만, 지금은 없는 만큼 디켐프가 많이 생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엔 투자자와 창업자가 만나 포럼과 파티 형태로 교류하고, 협력한 뒤 투자가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0년 벤처붐 당시 강남에만 20여개, 국공립 대학에 50여개의 인큐베이션이 있었지만, 지금은 하나도 없어 투자자와 창업자간 교류가 없다는 것. 그나마 올해 4월에 개설된 기업가정신센터(D.Camp)도 포화상태로 창업자의 수요가 큰 만큼에 서울에만 최소 10개 이상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 대표는 "인큐베이션이 단지 사무실을 제공하는 것은 잘못 이해하는 것"이라며 "사람을 모이게 해 네트워킹하고, 그 과정에서 가치를 발견해 투자하게 하는 것이 벤처캐피탈 생태계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투자자와 창업자간 소통의 장소 설립 외에도 엔젤투자와 벤처투자에 대한 세제혜택도 중요하다고 참석자들은 입을 모았다.
특히, 엔젤투자의 경우엔 소득공제 혜택을 기존 30%에서 50%로 늘렸지만, 엔젤투자가 저조한 만큼 한 시적으로 100% 소득공제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벤처투자 역시 벤처투자가가 소득세를 내는 만큼 세제혜택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고 회장은 "선진국 사례를 보면 한시적으로 100% 소득공제를 해주는 나라들이 많다"며 "300억원 수준도 안 되는 국내 엔젤투자가 5000억원 규모가 될 만큼 한시적으로 100% 소득공제를 해주면 엔젤투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문 대표 역시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선 세제혜택 말고는 대책이 없다"며 "정부에서 세수 부족을 이유로 세금을 건드리지 않으려고 하지만, 인수를 당한 개인들이 소득세를 내는 만큼 세제혜택은 줘야 한다"고 밝혔다.
은행과 보험 등 민간 자금의 벤처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도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손실 처리에 대한 회계상의 문제가 이들 민간 자금의 벤처투자를 꺼리게 만든다는 것.
김희석 한화생명 투자전략 본부장은 "벤처투자를 하면 실제로 손실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한 것보다 수익이 밑돌면 손실로 인식하게 된다"며 "실제로 손실이 나면 모를까 손실이 확정되기 전엔 회계상으로 손실이 안 되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상진 기업은행 부행장도 "지금까지 은행 등 제1금융권에서 벤처 투자에 대한 시스템적, 문화적인 문제가 있었다"며 "하지만, 최근에 우리는 투자쪽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부행장은 "벤처투자는 위험리스크가 있어 일반 대출보다 위험과중자산이 4배 이상"이라며 "결국, BIS비율(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4배이기 때문에 은행 같은 1금융권에서 벤처에 투자하는 데 제약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