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스마트하지 않은 스마트그리드..넘을 산 많다
2014-03-27 17:49:11 2014-03-27 17:53:17
[뉴스토마토 최병호기자]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스마트그리드. 기존 전력망이 발전소에서 전력 수요자까지의 일방적 송전이라면 스마트그리드는 정보기술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고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방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2017년 125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이에 정부는 올해 1월 확정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스마트그리드 육성을 중점 과제로 제시했고, 삼성과 LG(003550) 등 대기업도 관련 사업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개념도(사진=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스마트그리드가 전력난을 극복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데다 이를 육성하려는 정부와 기업의 의지만 보면 스마트그리드에는 마치 장밋빛 미래만 있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시장이 지금보다 더 성장하려면 넘을 산이 많다고 밝혔다.
 
우선 사업화 규모와 속도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인력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한전KDN 관계자는 "산발적으로 나뉜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통합해서 추진하고 전력망 구축에 전문적으로 나설 핵심인력이 제한적"이라며 "전력계통과 정보기술 등에서 이론과 실무를 갖추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할 인력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은 스마트그리드 인력양성에만 1억달러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지만 우리나라는 단기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5000여명 수준을 양성하는 속성훈련에 머무르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시장이 커질수록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비용과 기술개발 자금부족도 넘어야 할 산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2010년 스마트그리드 투자액은 중국 73억달러, 미국 71억달러지만 우리나라는 8억2000만달러"라며 "미국은 2009년 스마트그리드 촉진법을 통과시키고 프로젝트당 50%까지 재정을 지원하지만 우리는 그런 게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도(사진=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고도화된 서비스와 기술을 활용·개발하려면 사업자와 학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를 이끌 수 있는 정책적 인센티브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낮은 인식과 관련 법 정비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가 지능형 원격검침인프라(AMI) 사업 관계자 150여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그리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대답한 사람이 77.8%나 됐다.
 
또 홍완식 건국대 법학대학원 교수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쓰이는 스마트미터와 스마트기기 등은 소비자로부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모은다"며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보호와 프라이버시의 침해위협에 대응하는 입법작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정부는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스마트그리드 육성을 위해 표준·시험·인증 등 공통 기반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제주 실증사업단지와 연계한 상용화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라며 "그러나 하드웨어에 대한 투자뿐 아니라 인력양성과 투자금 확보, 관련 법 정비 등에도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