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5G 주도권' 위한 최초 상용화 쟁탈전
'동글' 방식으로 상용화 유력
글로벌 최초 경쟁에 가세…상징적 5G에 그칠 우려
2018-09-09 17:05:33 2018-09-09 17:05:33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5세대(5G) 통신의 세계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연내 상용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모뎀이나 모바일 라우터등을 이용해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 한해 서비스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 소비자가 5G를 체감할 수 있는 5G 스마트폰은 내년 상반기에나 출시될 것으로 보여 5G 연내 상용화는 상징적 의미에 그칠 수 있다.
 
5G 연내 상용화를 공식화한 것은 KT다. KT는 9일 "지난해 2월 황창규 회장이 세계 최초 상용화를 전세계에 선언했고 이를 위해 올해 초 평창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를 했다"면서 "올해 12월 상용화를 위해 관련 산업계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동통신 3사 모두 5G 전파 발사를 동시에 하기로 합의한 상태"라며 "당초 내년 3월 상용화를 예정했지만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관련 업계가 협력하고 있다"라는 말도 내놨다.
 
불씨는 KT가 지폈지만,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같은날 상용화에 나설 여지가 크다. 지난 7월 이통 3사는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5G 동시 상용화'에 합의한 바 있다. 이통 한 관계자는 "전파법에 따라 12월1일 5G 주파수 할당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상황"이라며 "서비스 초기에는 전국망이 아닌 일부 지역에 국한해 시작되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기 5G 서비스 단말은 스마트폰이 아닌 동글 등 라우터(네트워크 중계장치)를 이용해 일부 지역에서 우선 서비스될 것으로 예상된다. 5G 스마트폰은 내년 상반기에나 출시될 전망이다. 일반 소비자가 5G를 직접 체감하는 것은 내년에나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상용화의 필수조건으로 꼽히는 이동성확보(모바일기기), 서비스(요금제), 이용자 측면에서 요금제가 나와 이용자까지 확보한다면 조건은 충족하는 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도 "인가 및 신고 절차를 거쳐 고객에게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5G 서비스를 하면 상용화로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5G 상용화를 서두르는 것은 글로벌 경쟁에 뒤처질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최초 상용화에 나선다면 정보통신기술(ICT) 코리아 위상도 높일 수 있다. 미국 1위 이통사 버라이즌은 11월 새크라멘토 등 7개 도시에서 고정형 5G 상용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미국 2위 통신사 AT&T 역시 연내 미국 내 주요 도시에 5G 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차이나유니콤은 올해 베이징에서 시범 성격의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
 
연내 상용화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당면한 과제 해결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당장 '상징적 5G'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한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지난 2011년 7월1일 4세대 통신(4G) 롱텀에볼루션(LTE) 전파 송출에 맞춰 상용 서비스에 나설 때도 동글 단말을 사용했다. 실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LTE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LTE 스마트폰이 출시된 그해 9월, 3사 전국망 완료 시점은 이듬해 10월이었다. 5G에서는 이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 아울러 5G를 체감할 수 있는 콘텐츠 확대에도 나서야 한다. 5G는 기존 LTE보다 최대 20~100배가량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이를 활용해 소비자들에게 내놓을 만한 서비스가 없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영상과 게임 콘텐츠는 현재 LTE에서도 사용자들이 즐기는 데 전혀 지장이 없다"며 "5G의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