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배한님 기자] 정부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K-사이버방역 전략을 발표했다. 코로나19에 대응해 현실 세계에 구축한 K-방역체계처럼 디지털 공간에도 사이버 위협을 막을 방역체계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손승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이 18일 'K-사이버방역'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e브리핑 갈무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 안심 국가 실현'을 목표로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은 오는 2023년까지 총 6700억원을 투자해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정책이다. 기존엔 보안전문가 중심·주요시설 위주·위협발생시 정보보호에 초점을 맞췄다면, 향후엔 디지털을 활용하는 모든 이용자 대상·상시 및 선제적·디지털이 활용되는 모든 기기 및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정보보호 역량 5위 이내 진입, 민간 침해사고 발생률 1.5% 이하, 정보보호시장 규모 16조원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을 위해 △디지털 안심 국가 기반 구축 △보안 패러다임 변화 대응 강화 △정보보호산업 육성 기반 확충 등 3대 중점전략을 세웠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안심 국가 기반 구축을 위해 사이버보안 얼라이언스를 세웠다. 사이버보안 얼라이언스는 정부가 IDC·클라우드·웹호스팅 업체 등 60여 개 민간 주요 기업과 사이버 위협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해 만든 협의체다. 여기서 모은 정보를 공유해 보안 패치 개발·보급을 지원한다. 아울러 '전국 원스톱 침해대응 체계'와 '5G 기반 사이버 대응망'도 구축해 피해자를 언제 어디서든 지원한다. 매년 1300개 이상 중소기업에 보안 점검과 함께 보안 솔루션도 제공할 계획이다.
보안 패러다임 변화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융합 산업 분야 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보안 가이드라인부터 표준모델 제시, 제도화로 연결되는 침해대응 융합보안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특히 △5G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플랫폼 △양자 내성 암호 등 향후 사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4대 핵심 디지털 융합 인프라'를 선정하고 선제적으로 보안 체계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들과 연결된 스마트 공장·스마트 시티·자율주행 플랫폼 등의 보안 침해에 대응할 전담 조직도 신설한다.
정보보호산업 육성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오는 2023년까지 인공지능(AI)·비대면 보안기술을 보유한 유망기업을 100개 이상 발굴해 성장을 도울 계획이다. 제품 설계부터 성능 개선·사업화·시장창출·해외진출까지 단계별로 지원한다. 아울러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과 융합보안 대학원을 확대 지정하고 오는 2023년까지 현장 실무형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3000명 이상 추가 양성한다.
손승현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우리는 지난 1년 전례 없는 감염법 사태로 지속가능한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했다"며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한 K-방역처럼 디지털 공간도 튼튼한 방역으로 디지털 경제 시대를 선도적으로 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한님 기자 bh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