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서울시가 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이라 불리는 도심 한복판 용산정비창 부지를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는 국제업무지구로 조성한다.
오 시장은 26일 용산정비창 일대 약 50만㎡에 대한 개발 청사진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발표했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서울 도심 한복판에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달하는 규모로 자리한 대규모 가용지다. 서울의 미래 발전엔진이 될 잠재력 높은 중심거점이지만, 금융위기 이후 자금 조달에 문제를 보이다 지난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10년째 방치됐다.
인허가권자인 서울시는 이번 구상 발표를 앞두고 토지소유자인 코레일과 36차례 실무협의와 도시계획, 교통, 경제, 산업 등 전문가 자문을 거쳐 비전과 개발방향을 설정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살펴보면 초고층 마천루 사이에 드넓은 공원과 녹지가 펼쳐지고,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이 입주하는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탈바꿈한다. 일자리와 R&D, MICE, 주거, 여가·문화생활 등 다양한 도시기능을 넣은 직주혼합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외국 기업과 인재의 유치·정착을 위해 국제교육시설과 병원 같은 외국인 생활인프라도 들어선다.
특히, 서울시는 최초의 입지규제최소구역을 지정해서 법적 상한 용적률 1500%를 뛰어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상업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우며, 고밀개발에 따른 부영향을 해소하고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공원·학교 등 기반시설을 전체 부지 대비 40% 수준으로 정했다.
융복합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용산정비창 부지 전체를 여러 개의 획지로 나누고, 모든 획지는 업무, 주거, 상업 등 다양한 기능이 들어갈 수 있는 다용도 복합개발을 처음으로 허용한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서 제시한 ‘비욘드조닝(Beyond Zoning)’의 개념이 전면 적용된다.
대규모 중앙공원과 철도부지 선형공원 등 녹지생태공간을 곳곳에 조성해 지상부의 50% 이상을 녹지로 확보하고, 차량은 지하로 달릴 수 있도록 지하교통체계를 구축한다. 녹지와 보행공간은 용산역과 용산공원, 한강까지 이을 계획이다.
교통부터 방재·안전, 환경·에너지까지 ICT 기반 도시인프라를 갖춘 서울을 대표하는 최첨단 스마트 도시를 지향한다. 지하도로는 물론 미래교통수단인 미래항공교통(UAM) 등과 GTX,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모빌리티 허브’가 들어선다. 용산은 서울도심과 강남, 인천공항과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신 교통거점이 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사업모델 구축 과정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과거 사업이 무산된 원인 중 하나였던 민간 PFV(프로젝트금융회사) 주도의 통개발 대신, 공공기관인 SH공사와 코레일이 각각 30%와 70%의 지분을 갖고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적 순차 개발을 시행한다. 공동사업시행자가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선 시행하고, 민간에서 개별 부지별로 하나씩 완성해가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추진하겠다”며 “차질 없이 실행해서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조감도. (사진=서울시)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진규 온라인뉴스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