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감만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태은 인턴기자] 정부가 두 달 연속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등장했고, 고용 부진 우려도 한층 구체적으로 담겼습니다. 국정 혼란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악화하는 등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하면서 경기 진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를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12월 그린북에서 "대내외적 불확실성 확대로 가계·기업 경제심리 위축 등 하방위험 증가가 우려된다"고 진단하며 줄곧 써왔던 '경기 회복'이라는 표현을 제외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신 지난달부터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는 표현이 처음으로 등장했고, 이 달에도 같은 진단이 유지됐습니다.
정부는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등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연말부터 이어진 국내 정치 상황이 소비 심리 악화에 주된 영향을 미쳤다"며 "대외적으로도 미국 신정부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하는 등의 상황이 겹치면서 경기 진단이 바뀌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고용 시장과 관해서도 '고용 둔화' 대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지속' 진단을 내놓았습니다. 이날 발표된 1월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13만5000명 늘어 다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000명 감소했고 제조업 취업자는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청년층 취업자도 21만8000명 줄어 큰 폭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길어지는 정국 혼란과 건설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내수 시장이 악화된 탓입니다.
조성중 과장은 "취업자 수 자체는 증가했지만, 청년이나 건설업, 일용직, 소상공인 등 취약 부분을 중심으로 고용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김태은 인턴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