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원석기자] 제약사들이 기술이전 및 공장설립 등 현지화 전략을 통해 중국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 현지화 전략을 펼 경우 허가 기간을 줄일 수 있고, 중국 자국산업 육성책에 따라 보다 완화된 허가 기준을 적용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녹십자(006280)는 최근 중국 구이저우성 정부와 세포치료제 사업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녹십자가 중국 현지 생산을 전제로 투자하면, 구이저우성 정부가 인허가 업무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녹십자 관계자는 "구이저우성 정부 차원에서 인허가 업무 편의를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중국은 의약품 최대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2020년에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의약품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2012년 기준 시장 규모는 497억달러로 세계 3위다.
중국 의약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 세계 제약사들의 진출 경쟁도 치열하다. 하지만 신속하지 못한 절차가 시장 진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중국에서 의약품을 발매하려면 현지 임상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해외 약물은 민족적 차이로 인해 의약품의 효과나 안전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서다. 국내 의약품도 예외가 없다.
문제는 의약품이 등록되기까지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임상 승인이 나려면 보통 6개월 이상을 대기해야 한다.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심사가 15~19개월 정도, 시판허가 접수가 24~34개월 정도 걸린다. 즉, 임상부터 시판허가까지 4~6년 정도가 지나야 중국에서 판매가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4~6년이지 실제로는 10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며 "일부 다국적 제약사는 제품 등록 기간에 두손 들고 중국 시장에서 철수할 정도"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처럼 긴 시간이 걸리는 이유에 대해 "중국에 제품들이 워낙 많이 몰려들어 시간이 지연되고, 중국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허가 장벽을 높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경한미약품 전경.(사진제공=한미약품)
이같은 이유 때문에 국내 제약사들은 중국의 현지 파트너사와 판권 계약을 하는 기존 방식 대신 기술이전이나 제약사 설립, 중국 생산공장 설립 등의 현지화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같은 전략을 펼칠 경우 복제약과 신약 등에 따라 상황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 허가 기간을 30~40% 줄일 수 있다.
현재 중국 현지화의 선두주자는
한미약품(128940)이다. 북경한미는 2001년 공장 완공을 계기로 고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해 매출은 약 10억1000만 위안(한화 약 1800억원)에 달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중국에서 성공하려면 기술이전이나 공장설립 등 현지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추야 한다"며 "앞으로도 완제의약품 수출보다 현지화 전략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