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Me!
연재 /기획
2016-08-11 09:07:26 2016-08-11 09:07:26
나는 아이유 노래를 좋아한다. 특히 작년 가을 지쳐있던 날 위로해준 ‘스물셋’은 지금까지 내 즐겨 찾는 노래 목록에서 빠지지 않는다.
 
“어느 쪽이게 사실은 나도 몰라 애초에 나는 단 한 줄의 거짓말도 쓴 적이 없거든 뭐든 한쪽을 골라 색안경 안에 비춰지는 거 뭐 이제 익숙하거든”
 
그 때, 난 노래 제목처럼 딱 스물셋이었고 교환학생으로 스웨덴에 있었다. 다양한 국적의 친구들을 만나서 색다른 경험에 즐거운 나날을 보내기도 했지만 가끔 내가 한국인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특정한 편견으로 날 바라봤던 친구들도 있었다. 짧은 영어로 날 표현하기에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은 꽤 공고했다. 그 깨지지 않는 공고함은 나를 날로 지치게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 어차피 곧 헤어질 사이인데 혼자 스트레스 받으면서 노력할 필요 없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결국 포기했다. 날 있는 그대로 받아주는 고마운 친구들과만 잊지 못할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아쉬움을 뒤로 한 채 귀국했다.
 
나는 만 22년 동안 온전히 나 자신으로 살면서도 나를 잘 모른다. 내일 영어 공부를 꼭 해야겠다고 다짐하며 잠 들어도 당장 내일이 닥치면 귀찮다는 시답잖은 이유로 하지 않는다. 부모님과 관련된 영화나 책을 볼 때마다 그 작품이 아무리 유치하고 개연성이 없더라도 눈물부터 나온다. 그 때마다 부모님한테 잘하자 다짐해도 집에 들어가면 우선 툴툴대고 본다. 왜 그러는 지 모르겠다. 이 밖에도 나조차 납득할 수 없는 괴상한 일을 수도 없이 해 왔다. 그나마 최근 일은 덜한 편이다. 멋 몰랐던 새내기 때 MT에서 생성한 창피한 역사가 생각나는 날은 제대로 잠이 들 수가 없다. 그 창피한 역사의 주인공이 나 일리 없다고 생각한다.
 
옛 사랑도 그렇다. 한 때 사랑까지는 아니지만 꽤 좋아는 했다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그런데 6개월도 안 돼 자연스럽게 마음이 떴다. 그렇다고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왜 그를 갑자기 좋아하게 되지 않았느냐고 물으면 그 이유야 시간을 가지고 머리를 쥐어짜내면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우선 그가 옷을 너무 대충 입고 나왔고. 또 술을 너무 잘 마셨고. 생각해보니까 그의 카톡 말투도 영 아니었다. 물론 그 이유를 찾아내기 전에 그가 싫어졌다. 단지 어떤 행위의 이유는 논리적이어야 하니까 생각해내서 말할 뿐이다. 싫어지니까 그냥 모든 면이 싫어졌을 테다. 예전에는 옷을 깔끔하게 입는 그의 스타일을 좋아했다. 그러다 마음이 식으니까 애꿎은 그 개성 없는 옷 스타일이 맘에 안 들었다. 술자리에서 분위기 메이커였던 그의 모습에 반했는데 마음이 뜨니 괜히 그 모습이 진중 해 보이지 않았다. 처음에는 얼굴과 상반 되는 귀여운 카톡 말투가 매력적이었다. 가끔은 이를 저장해서 잠이 오지 않는 새벽에 보며 실실 웃기도 했다. 그러나 맘이 변하니까 안 어울리게 귀여운 척 하는 것 같은 그 말투 때문에 카톡도 하기 싫어졌다. 이렇듯 난 별 이유 없이 계속 변한다. 그렇다고 신입생 때의 나를, 그를 좋아했던 나를 후회하지는 않는다. 그 때는 그게 맞았다고 생각했을 테니까. 과거의 나도 나고 지금의 나도 나다. 설명하기는 복잡하지만 다 나인 사실은 확실하다. 
 
이렇게 나는 모순 덩어리고 계속 변해간다. 그러니 내가 나의 일련의 감정과 행동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설명하겠는가? 그 때 그 때 마음 가는 대로 행동하고 때로는 그 속의 논리나 이성 따위를 찾아볼 수 없기도 하다. 그렇다고 내가 매 순간 거짓말을 하고 가면을 쓴 채 다른 사람을 흉내 낸다고 말 하기는 어렵다. 달라 보이고 이해할 수 없을지라도 나는 항상 나 자신이다. 따라서 굳이 나를 정의해야 한다면 그냥 “ 너무 복잡해서 정의할 수 없다.” 고 말하겠다.
 
그래서 인턴이나 아르바이트를 하기 위해 지원서를 쓸 때마다 곤혹을 겪는다. 경험이나 능력과 같은 항목은 그나마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면 쓸 수는 있다. 그러나 본인이 어떤 사람인 지 기술하라는 칸에서는 항상 막힌다. 내가 어떤 사람인 지 명확히 정의할 수 없는데 이를 글로 쓰는 일은 너무나 가혹한 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A4 반으로 그 분량을 제한하기까지 하면 어찌해야 할 바를 모르겠다. 나 자신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라는 항목이 있는 지원서는 괘씸하기까지 하다. 
 
나도 나를 설명하기 어렵다. 그 중요한 지원서를 쓸 때 조차 어떻게 나를 소개해야 할지 몰라 혼란스럽다. 근데 가끔 나보다 나를 아주 쉽고 간결하게 정의하는 천재를 만난다. 놀랍게도 꽤 많이 있어서 자주 만난다. 심지어 그들 중 나랑 친분 관계가 전혀 없었던 사람도 있다. 게다가 내 얼굴을 본 적이 없던 내 이름을 모르던 내가 세상에 존재하는 사실 자체까지 모르던 사람도 있다. 사실 이 정도면 그는 인간의 경지를 넘어선 신이다. 그는 내가 사회학과고 대학생이고 20대고 황인이고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나에 대해 판단한다. 특정 집단에 속한다는 이유 하나로 나를 정의한다. 사회학과니까 어떻고, 대학생이니까 어떻고, 20대니까 어떻고, 황인이니까 어떻고 그리고 여자니까 어떻고. 이쯤 되면 인간이니까 어떻다고 말 하지 않는 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사실 그가 신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그 판단이 이상하지도 않다.
 
물론 개개인이 모인 집단의 특성을 연구하는 일은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이다. 나 또한 나 자신과 주변 세계를 알아가는 일을 좋아한다. 이는 내가 사회학을 좋아하고 리서치에 관심 있는 이유다. 하지만 사회를 알아가는 일과 어떤 사람을 평가하고 재단하는 일은 구별되어야 한다. 
 
나는 20대인 사회학과 황인 여대생이기 이전에 그냥 나다. 자신의 세상 속에서는 자신이 전부다. 아무리 내가 속해있는 집단이 이렇다 저렇다 하더라도 나의 세상 속에서는 내가 전부다. 그 집단의 기나 긴 역사가 엄청나게 의미 있더라도 나한테는 내 인생이 가장 중요한 역사다. 나는 유일무이한 존재다. 누구와도 같을 수 없다. 게다가 난 모순덩어리에다가 매일 변하기 까지 해서 나도 날 잘 모르겠다. 그러니 나를 어떤 집단에 속했다는 이유만으로 섣불리 평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굳이 왜 다른 사람을 평가해야 하는가? 한 번 사는 인생 내 인생 살기도 벅차다. 복잡한 나 자신 하나 알아가기도 인생은 너무나 짧다.
 
아이유 같이 애초에 나는 단 한 줄의 거짓말도 쓴 적이 없다. 하지만 아이유와 다르게 나는 한쪽을 골라 색안경 안에 비춰지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그리고 익숙해지고 싶지도 않다. 따라서 익숙해지지 않을 것이다. 그 색안경은 아주 나쁜 물건이기 때문에 이를 단종시키기 위해 뭐라도 해야겠다. 모두가 ‘나’를 온전히 ‘나 자신’으로 봐 줄 세상을 위해.
 
 
사진/SBS 캡쳐
 
 
 
임다연 baram.asia  T  F
 
 
 
**이 기사는 <지속가능 청년협동조합 바람>의 대학생 기자단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젊은 기업가들(YeSS)>에서 산출하였습니다. 뉴스토마토 <Young & Trend>섹션과 YeSS의 웹진 <지속가능 바람>(www.baram.asia)에 함께 게재됩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