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 김모(남·63)씨는 젊은 시절 사법고시를 1차까지 통과하는 등 공직자의 꿈을 키웠으나 아내와 아들이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한 후 충격을 받고 방황하다 양재천 부근 공원에서 수년째 장기노숙을 했다. 지난 여름 이렇게 살다간 안 될 것 같다란 생각을 한 김씨는 동주민센터를 받아 상담을 받고 상담을 받고 거리의천사들과 연결됐다. 현재 김씨는 양재동 인근 고시원에서 임시주거지원을 받으며 파지도 줍고 동네 청소도 하면서 다른 노숙인들을 선도하고 있다. 얼마 전 공원에 산불이 났을 때에는 초기 진화로 화재를 막아 동네 주민들에게 칭찬을 받기도 했다.
#. 지적장애를 갖고 있는 신모(여·36)씨는 두 번의 결혼생활에서 첫 번째 남편은 음주 알콜성 간암으로 사망했고, 두 번째 남편은 폭언과 폭력을 일삼아 가정폭력을 견디지 못해 서울역으로 상경해 2004년부터 거리노숙과 쪽방생활을 반복해 왔다. 지난해 11월 거리상담에서 용산구의 한 고시원을 임시주거지원받은 신씨는 기초생활수급 신청과 장애진단서를 발부받아 현재는 가정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심리상담을 받으며 홀로서기를 노력 중이다.
어려운 사정으로 인해 거리생활을 하던 862명의 노숙인들이 지난해 서울시와 지역사회, 자활단체 등의 도움을 받아 자립을 꿈꾸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거리노숙인과 노숙위기계층 862명에게 고시원 등의 월세를 평균 2.2개월 지원한 결과 724명(84.0%)이 주거지원 종료 후에도 거리로 다시 나오지 않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노숙인 임시주거지원은 최장 6개월까지 지원되지만, 취업·수급신청 등으로 조기 자립이 가능해져 대부분 약 2~3개월 안에 지원에서 벗어난다.
노숙인 임시주거지원 사업은 서울시가 2011년부터 거리노숙인 감소를 위해 추진한 사업으로 단체생활 부적응 등으로 시설입소를 거부하는 노숙인에게 임시주거형태의 잠자리를 제공, 거리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왔다. 임시주거 지원 대상자에 대한 전담 사례관리자 8명을 별도로 배치해 말소된 주민등록을 복원하도록 도와주고, 생활용품·병원진료 등을 지원해 임시주거에 입주한 노숙인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왔다.
생활용품 지원 679건, 주민등록복원 110건, 무료진료 지원 105건, 장애인등록 2건, 신용회복 지원 2건 등이다. 생활용품 지원은 1인당 최대 10만원까지 가능하며, 세면도구나 속옷, 양말 등 생활필수품 위주로 지원한다. 임시주거를 제공받은 노숙인의 자립을 위해 공공·민간 일자리를 연계해 214명에게 일자리를 지원했다. 건강 때문에 취업이 어려운 노숙인 277명에게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자격 취득이나 생계비 등 긴급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연계했다.
서울시는 임시주거지원 외에도 LH와 SH에서 지원하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이나 공동생활가정을 연계하고 있다. 현재 총 1163호의 공공임대주택에 1576명이 입주해 생활 중이다. 1576명은 당사자가 경제활동이나 주거급여로 월세를 납부하고 있다. 서울시는 노숙생활 후 매입임대주택 등에 입주한 이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도록 돕기 위해 사례관리자 11명을 배치해 일상생활 관리와 의료서비스 연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정신질환 및 알코올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어 자립하는데 더욱 어려움을 겪는 노숙인을 위해 지원주택 100호를 추가 연계해 지역사회 정착을 도울 예정이다. 올해부터 서울시는 지원주택을 138호로 확대하고, 알코올중독 노숙인 5명당 1명, 정신질환 노숙인 7명당 1명씩 전담사례관리자를 배치해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 중구 동자동 남대문쪽방상담소에서 노숙인들과 쪽방 주민들이 무료 독감 예방접종을 맞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진규 온라인뉴스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