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빅데이터를 다루는 스마트시티 기술이 코로나19 역학조사를 신속하게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되면 확진자 동선을 체크해 도표로 만드는데 2~8시간 걸렸던 작업이 10분 내로 줄어든다.
빅데이터를 다루는 스마트시티 기술이 코로나19 역학조사를 신속하게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졸업생이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학교 한의대를 방문해 폐쇄된 11일 출입문에 출입 통제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뉴시스
11일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질병관리본부는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를 활용해 오는 16일부터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지원 시스템은 범부처 협업으로 이뤄진다. 먼저 질병관리본부는 시스템을 이용해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의 이동통신 정보와 신용카드 사용 정보를 토대로 이동경로 등을 파악한다. 이를 지도 위에서 확인하고 관련 통계정보로 신속하게 코로나19에 대응한다.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는 국토교통부와 과기정통부가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R&D) 사업으로 개발한 대규모 도시데이터 분석도구다.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도시내 각 분야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는 플랫폼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융·복합 데이터를 창출하고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국토부·과기정통부·질본은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기반 역학조사 시스템을 코로나19 대응에 우선 적용하고, 향후에도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에 활용할 방침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코로나19 피해를 막기 위해 전 부처 협력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극 활용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