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가격 변동성이 큰 항목을 뺀 물가지표인 '기조적 물가'가 점차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최근 경기 회복세와 미래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인플레이션 기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30일 발표한 '기조적 물가지표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지난해 봄 코로나19 충격으로 큰 폭으로 둔화됐다가 올해 3월 이후 다시 확대되고 있다.
기조적 물가란 소비자물가에서 교란 요인의 영향을 제거한 것으로, 중기 시계 인플레이션 압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 지표다.
한은은 기조적 물가 판단 지표로 △관리제외 근원물가 △조정평균물가 △가중중위수물가 △관리제외 경직적물가 △경기민감 근원물가 △UIG(잠재적 인플레이션 압력 지수) 등 6개를 사용했다.
올해 4월 이후 소비자물가가 2%를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농축산물 및 석유류 가격, 관리물가 등 요인 영향을 제외한 기조적 물가 흐름에 대한 판단이 중요해졌다.
기조적 물가 지표의 평균 상승률은 지난해 1월 1.4%였으나 코로나19 충격으로 같은 해 4월 0.6%로 낮아졌다가, 올해 3월 1.2%, 4월 1.6%, 5월 1.6%. 6월 1.7%, 7월 1.9% 등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다.
기조적 물가지표는 교란 요인 영향이 제거돼 소비자물가에 비해 변동성이 낮고 지속성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이동원 한은 물가동향팀 차장은 "지난해 기조적 물가지표 상승률은 0.9%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0.5%보다 평균적으로 0.4%포인트 높았다"며 "반면 올해 1~7월 중 기조적 물가 상승률은 1.4%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1.9%보다 0.5%포인트 낮은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1월 기조적 물가와 물가가 가장 낮았던 지난해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 간의 차이, 기조적 물가가 가장 낮았던 작년 4월과 올해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 간 차이를 보면 소비자물가 변동폭은 기조적 물가에 비해 2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한은은 최근 기조적 물가지표의 오름세 확대에 비춰 볼 때, 물가 상승 압력은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기조적 물가의 오름세 확대는 최근의 경기 회복세를 반영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차장은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공급측 요인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향후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은이 30일 발표한 '기조적 물가지표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지난해 봄 코로나19 충격으로 큰 폭으로 둔화됐다가 올해 3월 이후 다시 확대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9일 오후 서울 중구 중부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