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수소사용량 390만톤으로 확대…"수소경제 가시화"
정부,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발표
민간기업, 청정수소 생산 등에 2030년까지 43조원 투자
수소사용량 현재 22만톤→2050년 2700만톤 확대
2021-10-07 16:45:27 2021-10-07 16:45:27
[뉴스토마토 정서윤 기자] 정부가 수소 선도국가로 앞서 나가기 위해 현재 22만톤 수준인 수소사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390만톤, 2050년 2700만톤까지 늘린다. 특히 향후 실증 지원 등을 통해 국내 청정수소 생산도 본격화한다.
 
정부는 7일 인천 청라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세계 최초 수소법 제정, 연구개발(R&D)·인프라·수소차·충전소·안전·표준 등 6대 분야별 정책을 마련했다. 또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했다.
 
수소경제 R&D 예산은 지난 2019년 855억원이었으나, 올해는 2400억원으로 2년만에 3배가량 증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소차·수소충전소·연료전지 보급에 2년 연속 세계 3관왕을 기록했다. 특히 트램, 화물·청소트럭, 지게차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를 실증 중으로 수소경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또 수소트럭·차량용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발전용 연료전지 등 신제품을 수출하는 쾌거도 이뤄 수소산업이 미래 유망 수출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했다.
 
아울러 민간기업은 청정수소 생산, 액화수소 생산·유통, 수소연료전지와 다양한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에 오는 2030년까지 43조원 이상 규모를 투자키로 했다.
 
하지만 수소차·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 구축 초기 단계로 청정수소 경제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 생산·유통·활용 전주기 생태계가 동시에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정부는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 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수소사용량을 현재 22만톤 수준에서 오는 2030년에는 390톤, 2050년에는 2700만톤까지 늘린다. 청정수소 비율은 2030년 50%, 2050년 100%로 높여갈 계획이다.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탄소저장소를 확보해 이산화탄소가 없는 청정 블루수소 생산을 확대한다. 블루수소의 경우 2030년 75만톤, 2050년에는 200만톤 수준까지 늘린다.
 
특히 암모니아 추진선·액화수소 운반선 등을 조기에 상용화하고, 수소항만을 조성해 원활한 해외 수소 도입 기반을 마련한다. 수소차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전국 충전망도 구축한다.
 
최고의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해 현재의 수소차 초격차를 유지하고, 열차·선박·도심항공모빌리티(UAM)·건설기계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적용을 확대한다. 또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산업분야 수소활용을 적극 확대하고 탄소중립 공정을 실현해 친환경 산업구조로 전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수소경제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과 정부간 협력도 나선다.
 
우선 민간이 계획하고 있는 대규모 투자가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가 R&D·세제·금융 등 다양한 정책을 지원한다. 신성장·원천기술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하고, 해외개발 융자·보증지원 정책금융을 늘린다.
 
수소전문 대학원·대학교 과정 신설과 업종전환 재교육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한다.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한 우선 실증 등으로 선제적인 안전관리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수소선도국가 비전을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담아 내달 중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정부는 '수소,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첫 번째 에너지'가 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7일 정부는 현재 22만톤 수준인 수소사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390만톤, 2050년 2700만톤까지 늘려 수소 선도국가로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수소차 충전소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정서윤 기자 tyvodlov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