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돈줄 아예 말랐다"…커지는 줄도산 경고음
이달 들어 국원건설·동흥개발등 회생절차 밟아
건설경기 악화로 PF대출 막히고 조달 비용 늘어
2023-09-21 06:00:00 2023-09-21 06:00:00
 
[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금리인상과 미분양 증가로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자금조달 창구가 막힌 상황에서 건설사들의 주택 익스포져(위험노출·exposure) 확대에 따른 위기감도 가시화한 모양새입니다.
 
20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폐업을 신고한 건설사(종합·전문공사업)는 총 2536곳으로 집계됐습니다. 폐업건수는 전년동기(1923곳)에 견줘 31.9% 증가한 수준입니다. 작년부터 이어진 금리인상 기조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겹친 데다 원자재가격 인상과 악성 미분양 증가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아파트공사현장 모습.(사진=백아란기자)
 
건설경기가 악화하면서 그동안 저금리 기조 속에서 수주 확대를 꾀했던 건설사도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PF에 대한 우려로 자금조달 창구가 쪼그라들며 유동성이 부족한 중소·중견건설사의 줄도산도 현실화하는 모습입니다.
 
통상 사업장 당 30개월 정도의 준공기한이 주어지는데, 부동산 신탁사 등을 통해 자금을 빌려 사업을 진행한 건설사의 경우 공사를 제때 완공하지 못하고 PF 만기가 도래할 경우 대출 상환이 어려워져 결국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실제 회생법원 등에 따르면 이달 들어 19일까지 총 5곳의 건설사가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공고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회생법원에서는 시공능력평가 75위인 대우산업개발을 비롯해 동흥개발, 국원건설이 회생절차에 들어가며 수원과 울산에서는 각각 삼호건설, 굿모닝토건이 회생절차를 밟게 됐습니다.
 
특히 시평 467위인 국원건설의 경우 롯데건설, IBK투자증권, GS리테일 등과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내년 착공할 예정인 검암플라시아복합환승센터PFV에 참여하기로 했던 만큼 시장의 충격은 더욱 큰 상황입니다.
 
(표=뉴스토마토)
 
이에 앞서 올해 초에는 현대가(家) 오너3세인 정대선씨가 최대주주로 있는 HNInc에 대해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고 관계인 집회를 공고하기도 했습니다. HNInc는 아파트 브랜드 ‘현대 썬앤빌’과 ‘헤리엇’ 등을 내세워 주택사업을 벌이며 지난 2021년 2838억원 규모의 매출액을 올렸지만, 지난해 분양한 속초헤리엇 THE228 등에서 미달이 나오며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상태며 시공능력평가 순위 111위인 대창기업도 회생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정부가 이달 중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1조원 규모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를 가동하기로 했지만, 시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히 나옵니다. 고금리 상황이 지속하고 공사원가와 안전비용이 상승하는 등 부동산 PF 시장 불안요인이 잔재한 까닭입니다.
 
권준성 나이스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분양 경기 침체 국면이 장기화 될 경우 사업장별 수익성이 저하하고 PF우발채무의 차환과 현실화 리스크는 재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재무적 완충력이 취약한 가운데 PF우발채무 규모가 과다하거나 지방 사업장 비중이 높은 건설사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김정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다수 중소건설사는 이미 증가한 공사비와 지연된 공기로 인해 투입공사비가 예정 공사비에 비해 훨씬 커져 손실이 크게 확대된 상태”라며 “금융기관들의 대출 거절로 인해 유동성 위기까지 경험하고있기 때문에 책임준공 이행에 따른 추가 공사비와 책임준공기한 도과에 따른 PF채무인수 부담까지 더해질 경우 신용도가 낮은 다수 중소건설사가 경영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평가했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한개 시공사가 여러 사업장에 신용보강을 제공하고 있고, 공사비 상승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기간이 2020년도 말이기 때문에, 준공이 집중될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중 다수 중소 건설사가 도산에 직면함으로써, PF부실채권이 집중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사업재구조화 대상 확대와 투자자에 대한 세제혜택, 위험헷지 장치 제공 등 시장충격 발생 억제와 실제 충격 발생 시 여파 최소화를 위해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지역 중소건설사 참여 사업장에 대한 지원 확대를 고민할 시점”이라고 제언했습니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