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장 소환된 'HMM 졸속 매각'
(2023 국감) 정무위 "산은 구조조정 역할 제대로 하고 있나"
김경배 HMM 대표이사, 27일 종합감사 일반증인으로 채택
2023-10-19 14:43:21 2023-10-19 19:21:43
 
[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24일 열리는 산업은행 대상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HMM 매각 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도마 위에 오를 예정입니다.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은 연내 HMM 매각을 마무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바 있는데요. 인수후보자들의 자금 동원 능력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졸속 매각’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19일 국회 정무위에 따르면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HMM 매각 인수후보자로 거론된 LX인터내셔널(001120)·동원산업(006040)·하림(136480) 등이 적절한 인수후보라고 판단하는 근거가 있는지, 매각을 서두르는 이유 등에 대한 질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거론된 인수 후보기업들의 현금성 자산은 대략 2500억원에서 1조7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최소 5조원으로 예상되는 HMM 매각가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 매각 참여기업들이 HMM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4조~5조원 가량을 사모펀드로부터 조달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정무위 소속 A의원실 관계자는 "후보기업들의 재무 여력을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자료를 산은이 확보했는지, 재원 조달 계획을 받았는지 등을 질의할 계획"이라며 "사모펀드의 먹튀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 어렵게 회생한 국내 유일 원양선사인 HMM이 다시 망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산은이 하나 남은 유일한 국적 선사를 ‘털기만 하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게 아닌지 따져 묻겠다는 설명입니다. 
 
정무위 소속 B의원실 관계자는 "공개 매각 형식으로 진행되다보니 덩치도 큰 HMM을 분수에 안 맞게 품어보겠다는 기업이 들어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산은이 구조조정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지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산은이 보유한 영구채 조기상환에 대한 지적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산은은 매각 공고 당시 1조원 규모의 영구채를 조기상환하겠다고 밝혔는데요. HMM 소액주주연대는 지난달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이동걸 전 산은 회장,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등 3명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소한 바 있습니다. 영구채 전환에 따른 인수 가격 부담 가중으로 자금 여력이 있는 대기업들이 입찰을 기피하게 됐고 HMM을 제대로 성장시킬 회사에 매각할 기회를 막은 것 자체가 배임에 해당한다는 지적입니다. 
 
정무위 소속 C의원실 관계자는 "산은의 영구채 전환은 매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너무 크다”며 “이를 통해 특정 기업에 특혜가 가지는 않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HMM 내부에서도 인수 후보기업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국감에서는 인수 후 직원들 고용 보장 등에 대한 논의 여부도 다뤄질 예정입니다. 
 
이 때문에 정무위는 김경배 HMM 대표이사를 일반 증인으로 채택했는데요. 27일 예정된 종합감사에서 증인대에 설 것으로 보입니다. 정무위는 해운업계 현황 청취 및 산업은행 지원과 관련한 회사 경영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증인 채택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HMM 측은 "이전에 대북 송금 등으로 국감에 불려온 적은 있지만 매각과 관련해 대표이사가 증인으로 채택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이 지난 6월 산업은행 본점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