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 순정·비순정 성능 '비슷'
"소비자오인 초래하는 용어 정비 필요"
2013-01-24 12:00:00 2013-01-24 12:00:00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자동차부품 중 순정부품과 비순정부품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자동차부품 가격 및 품질 안정화를 위한 가격 조사와 함께 소비자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브레이크패드와 에어클리너의 성능은 부품 브랜드와 무관하게 대부분의 제품이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순정부품과 비순정부품의 차이가 별로 없는 것이다.
 
동일한 업체가 생산한 부품이라도 완성차 생산기업이 주문 생산한 주문자생산부품(OEM부품;순정부품)과 부품생산업체가 자체 브랜드로 생산한 부품(비순정부품)으로 구분된다.
 
OEM부품만 품질이 우수하다고 소비자들이 오인할 수 있으므로 OEM부품과 규격품으로 용어를 정리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순정·비순정부품의 성능이 비슷해도 가격차는 최대 1.83배까지 차이났다.
 
OEM부품인 현대모비스(012330) 제품을 사용해 수리할 경우 비순정부품이라 불리는 규격품을 사용할 때보다 부품별로 1.08~1.83배 비용이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가격차가 심한 제품은 아반떼용 에어클리너로서 현대모비스 제품은 1만9556원인 반면 카포스 제품은 1만667원이다.
 
소나타용은 모비스 제품이 보쉬 제품의 1.44배, 그랜저용은 모비스 제품이 보쉬 제품의 1.52배 더 비쌌다.
 
브레이크 패드의 경우 아반떼용 현대모비스 제품(6만1744원)으로 교체할 경우 상신 제품(4만2480원)에 비해 1.52배 비쌌다.
 
아울러 자동차 수리 시 소비자선택권의 보장을 위해 공임비·부품가격을 게시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정비센터 10곳 중 3곳은 소비자가 요청할 때에만 견적서 양식을 발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자동차 수리비용을 확인하기 어렵다"면서 "수리내역서나 견적서 등의 발행 의무화를 준수하고 공임비·부품가격을 게시해 소비자들이 알기 쉽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