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45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전세보증금이 가계부채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전세의 월세화와 가계 자산부채 구조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월세에 부담을 느낀 전세 세입자들이 주택매입에 나서거나, 임대인이 전세 보증금을 갚아주는 과정에서 각각 대출에 의존해 가계부채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전세보증금이 약 450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서울시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에서 전세 매물을 알리는 문구가 부착돼 있다. 사진/뉴시스
연구소는 전세 물건 품귀 현상이 발생하는 가운데 월세로 전환하는 가구 수가 최근 수년 간 꾸준히 늘어난 것에 주목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월세 가구 수는 2012년 18.6%에서 2014년 21.8%로 3.2%포인트 증가했다. 또 올해 상반기 전국 전·월세 거래 가운데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43.4%를 기록해 2012년(33.9%)보다 9.5%포인트 늘어났다.
전세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 지역은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전세가율)이 70%에 도달했다. 올 상반기 주택 매매 거래량은 61만796건으로 2006년 통계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연구소는 월세 전환율이 높아지고, 전세가가 폭등하면서 전세보유자가 주택 매입에 나서는 사례가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초저금리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로 은행 대출 문턱이 낮아져 전세 세입자들이 주택 매입을 위해 대출받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며 "임대인들 역시 전세보증금을 세입자에게 내주면서 주택담보대출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통계청의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대보증금 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보증금이 금융 자산을 초과하는 경우가 전체의 52.8%에 달했다. 이는 세입자가 이사를 갈 때 임대인 중 절반 이상이 빚을 내 보증금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전세보증금이 앞으로 가계부채의 뇌관이 될 수도 있다"며 "최근의 주택담보대출 급증세도 이런 맥락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