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형석기자] 은행들이 최근 자본확충을 위해 코코본드(조건부자본증권) 발행에 속속 나서고 있다. 코코본드의 경우 채권처럼 사고 팔수 있음에도 국제 규정상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손실 가능성이 일반 채권보다 높은 만큼, 코코본드 외에도 다양한 자본확충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농협·신한·KEB하나은행 등 국내 10개 은행이 발행한 원화 및 외화 코코본드 발행 규모는 3조원에 달한다.
최근에도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은 지속되고 있다.
기업은행(024110)은 지난 6일 이사회에서 3000억원 규모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 발행을 의결했다. 기업은행은 올해 안에 3000억원 규모의 추가 코코본드 발행도 검토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신한지주(055550))은 지난달 2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했다. 이번 코코본드 발행은 지난 2006년 발행한 3억5000만 달러(39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Tier1)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는 2006년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을 중도상환할 경우 하락하는 국제결제은행(BIS)총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신한은행이 올해 발행한 코코본드 규모는 1조1000억원에 달한다.
이처럼 은행들이 잇따라 코코본드 발행에 나서고있는 이유는 바젤Ⅲ의 높아진 자본규제 때문이다.
2019년 도입되는 바젤Ⅲ에 따라 국내 은행들은 BIS 비율을 14% 이상으로 맞춰야 한다.
6월 말 현재 대부분의 은행들은 BIS 비율이 14%를 상회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이 16.76%로 가장 높고, 국민은행(15.94%), 우리은행(15.3%, 자회사 제외 시), 신한은행(15.2%) 등도 모두 14% 이상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바젤Ⅱ 규제에 따라 발행된 코코본드는 매년 자기자본에서 10%씩 차감된다. 은행들 입장에서는 과거 코코본드를 중도에 상환하고 바젤Ⅲ에 맞는 새로운 코코본드를 발행해야 하는 것이다.
본격화되는 기업 구조조정도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을 부추기고 있다. 부실채권 증가에 대비해 자본 비율을 선제적으로 높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국내 은행법 개정으로 코코본드 발행의 근거를 마련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채권처럼 사고 팔 수 있으면서 바젤Ⅲ 자본 요건까지 맞출 수 있는 코코본드 만한 수단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의 코코본드 발행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과거 연초 도이체방크의 코코본드 이자 지급 중단 우려에 유럽 금융권 전체가 술렁였던 점을 감안하면 자본확충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내은행들이 자본확충 방식으로 코코본드 발행을 선호하고 있다. (왼쪽부터)신한은행, 국민은행, KEB하나은행, 농협은행 본사. 사진/뉴시스
김형석 기자 khs8404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