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관리사업 10년…전국으로 확산
2007년부터 시행, 지역사회 통합관리 시스템 안착
2017-12-07 13:48:51 2017-12-07 17:00:19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가족에게만 맡겨진 채 치료가 중단되거나 사회에서 방치되던 치매 어르신 문제가 서울시의 치매관리사업을 거쳐 전국 각지의 지역사회 품으로 들어오고 있다.
 
서울시는 2007년 전국 최초로 시작한 치매관리사업이 시행 10년을 맞으며 치매어르신을 지역사회에서 통합관리하는 서울모델로 안착했다고 7일 밝혔다.
 
고령화와 평균 수명 연장으로 치매에 노출되는 어르신의 수는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전국 약 68만명, 서울은 10만명 이상 치매로 진단받고 있으며, 10년 뒤에는 그 수가 약 두 배에 이를 전망이다.
 
정부가 올해 발표한 치매 국가책임제의 핵심인 전국 252개 치매안신센터는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인프라인 25개 자치구치매지원센터를 모델로 하고 있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 설치된 광역치매센터 역시 서울시광역치매센터에 뿌리를 두고 있다.
 
서울시는 치매가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에게 심리적 고통과 신체·경제적 부담을 주는 현실을 반영해 치매 인식개선, 예방, 조기치료, 단계별 적정관리를 지역사회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치매전문자원봉사단인 기억지킴이를 운영해 가가호호 어르신 가정을 주 1회 방문하고 말벗 등 정서 지원부터 치매 투약관리, 병원 동행, 사례관리 회의를 통한 적절한 서비스까지 지원하고 있다.
 
성북구 기억지킴이단 62명의 경우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319명의 치매어르신 사례를 관리해 왔다.
 
시민들이 치매환자나 가족을 만날 때 대응법을 교육받는 ‘천만시민 기억친구 프로젝트’는 현재 2만7000명이 넘는 기억친구를 양성해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확산시키고 시민들의 참여 분위기를 조성했다.
 
선별검진, 정밀검진, 원인확진 등 단계적인 검진 프로그램을 가동해 치매 고위험 노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체계적인 치료·관리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서울시는 저소득층 치매환자에게 검사비 중 본인부담금 일부분을 지원해주고 있다.
 
조기검진사업 등을 통해 진단 상태에 따라 대상자를 정상, 치매환자, 치매고위험 군으로 구분하고 이를 등록관리해 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 중이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이 치매환자와 가족에 연계될 수 있도록 치매서비스망을 촘촘히 구축해 지역조사, 치매관련 종사자 교육, 치매전문자원봉사자 양성, 지역자원 간 연계체계 구축 등을 추진했다.
 
지역 내 치매관련 복지시설과 의료시설이 인지건강센터에서 시행 중인 비약물적 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홈페이지를 구축해 치매환자 및 가족, 시민, 시설 종사자 등이 쉽고 정확하게 치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에는 치매 예방을 강화하고자 정상군 어르신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해 확대·보급할 계획이다.
 
치매 어르신이 친숙한 마을에서 편안하게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중심의 ‘우리 동네 치매안심 주치의 제도’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 용산구 치매지원센터에서 어르신들에게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박용준기자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진규 온라인뉴스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