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이어 경기도에서도 홍역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병 관리에 대한 우려가 전국적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안산지역 홍역 환자와 같은 시설에 머물던 영유아 1명에 대한 감염이 확인되면서 모두 10명이 격리·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20일 열린 긴급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 홍역 유행이 종료하는 시점까지 상황대책반을 운영하고, 선별진료소를 설치하기로 하는 등 감염병 대응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쉽사리 수그러들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안산지역 확진자를 포함한 누적 환자는 전날 16명에서 38명으로 늘어나 치료 중이고, 확진자와 접촉한 475명이 감시를 받는 등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무엇일까. 우선 대구의 한 종합병원에서 발생한 홍역에 대해 생각해보자. 환자가 발생한 파티마병원은 응급실 소속 의료진이 감염됨에 따라 병원 응급실이 2주 동안 폐쇄됨과 동시에 1만5000여명에 달하는 접촉자 조사까지 진행되고 있다. 조금 과하게 우려해서 “이런 상황이 확산돼 우리나라 전체 병원 응급실 폐쇄로 이어진다”고 설정한다면 위급한 환자들은 다 어디로 갈 것인가.
이제는 감염병에 대한 수동적·방어적 시스템을 전환할 때가 됐다. 감염병은 항상 주의 대상이지만, 허술한 관리는 여전하다. 1~5군 감염병과 지정감염병 등으로 구성된 ‘법정감염병’에 대한 대응마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발생시 진단 전 환자를 일일이 대응하며 확진을 받아내는 과정에서 병원균 전파를 원천 차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여기에 일상적으로 바쁜 의료인들에게 단순한 기침이나 열, 발진 등은 감기(상기도감염) 상태로 인지하고 넘어가기 쉬운 증상으로 꼽히는 것도 한몫한다.
기저질환 등이 있다 하더라도 매뉴얼에 따르는 체계적인 환자 관리를 진행하기에는 인력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의료인들이 도맡고 있는 감염병 감시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는 체계가 여전히 부실하다는 의미다. 특히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등 감염병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수정·보완하는 공직자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도 현장에 있는 의료인들에게만 짐을 떠넘기며 탁상행정을 이어가서는 안된다.
조문식 기자 journalmal@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