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서울시가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부담 경감을 위해 추진한 제로페이의 월 결제금액이 2억원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한 악세서리 상점에서 소비자가 제로페이로 결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시중은행의 제로페이 결제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 올해 1월 제로페이 결제실적은 8633건, 결제금액은 약 1억9949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같은 기간 국내 개인카드(신용·체크·선불) 결제건수 15억6000건과 비교하면 0.0006%, 결제금액 58조1000억원과 견주면 0.0003%에 불과했다.
특히 1월31일 기준 제로페이에 정식 등록한 가맹점이 4만6628개인 것을 고려하면, 한 달 동안 가맹점당 거래실적은 고작 0.19건, 4278원에 각각 그친 셈이다. 결제가 이뤄지는 은행별로 보면 결제건수는 우리은행이 3138건으로 가장 많았고, 결제금액으로는 케이뱅크가 879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가맹점에서 물건을 살 때 간편결제 사업자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가맹점 QR코드를 찍으면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바로 돈이 이체되는 결제 방식이다. 기존 신용카드 결제 과정에서 매기는 카드사 수수료, 부가통신업자(VAN사) 수수료 등 중간 단계를 줄인 만큼 소상공인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결제시장에서 제로페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이후 지난 1월까지 결제금액은 서울시(38억원)와 중기부(60억원)가 올해 잡아놓은 제로페이 홍보예산(98억원)의 50분의 1에도 못미칠 만큼 실적도 저조하다. 김 의원은 "가맹점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국 소비자들이 제로페이를 이용할 실익이 있는가, 신용카드가 아닌 제로페이를 선택할 유인이 있는지가 핵심인데, 서울시와 중기부는 가맹점 확대에만 목을 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세금을 쏟아부어 억지로 실적이 늘어난다고 해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수료를 수취하지 못하는 은행들의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는 점도 문제"라며 "결국 상인의 부담을 은행으로 돌리는 것뿐이고, 은행은 손해를 은행 고객에게 전가하게 되는 악순환을 어떻게 끊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제로페이의 미래는 결코 밝을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