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현준 기자] 5세대(5G) 통신이 상용화된 지 약 6개월을 맞이했지만 품질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지난 4월3일 5G 상용화한 이후 5G 기지국을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 그치고 있다. 이통 3사가 각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는 5G 커버리지(도달거리) 맵을 보면 5G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은 서울·인천·경기를 비롯한 수도권과 부산·대구·광주·대전 등 광역시 지역 위주로 집중돼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G 기지국 수는 주파수 할당 당시 2021년말까지로 제시된 목표 수준을 달성하고 있다. 하지만 5G 품질 논란은 여전하다. 5G 스마트폰으로 5G 요금제에 가입했지만 여전히 5G 신호가 잘 잡히지 않아 LTE(롱텀에볼루션)으로 사용한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 이통 3사는 5G와 LTE를 혼용하는 NSA(Non Stand Alone)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5G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SA 방식의 상용화는 내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실내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아직 이통사들이 공항과 대형 쇼핑몰 등 인파가 몰리는 곳 위주로 실내 중계기를 설치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보니 실내에서 5G를 사용하는 것은 야외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다.
(왼쪽부터)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5G 커버리지 맵. 사진/각사 홈페이지 캡처
이통사들의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높다. 이통 3사는 5G를 상용화하며 속도가 LTE보다 최대 20배까지 빠른 20Gbps까지 가능하다고 대대적으로 광고했다. 하지만 정작 5G 스마트폰으로 5G 기지국 인근에서 통신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 '벤치비'로 측정하면 다운로드 속도는 1Gbps를 넘기기 어렵다. 3G에서 LTE로 넘어갈 때에 비하면 소비자들이 속도 차이를 느끼기 어려운 수준이다.
늘어나고 있는 5G 가입자 수도 5G 서비스 덕분이라고 보기 어렵다. 30일 현재 이통 3사의 5G 가입자 수는 300만명을 넘어섰다. 이통사들은 갤럭시노트10 5G, 갤럭시S10 5G, LG V50 씽큐 등 주요 5G 스마트폰에 지원금을 집중했다. 공시지원금뿐만 아니라 일부 온·오프라인 매장에만 일시적으로 지급하는 판매장려금을 통해 불법 지원금 경쟁도 불사했다. 이 과정에서 구형 LTE 스마트폰보다 5G 스마트폰의 가격이 더 저렴해지면서 교체 시기를 맞이한 소비자들이 5G 스마트폰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국회입법조사처는 과기정통부 국정감사 이슈 분석 자료를 통해 "5G 가입자 증가는 최신 단말기와 이통사들의 가입유치 경쟁으로 인한 것으로 5G 서비스 자체가 활성화돼 나온 결과로 보기 어렵다"며 "5G·LTE망의 효율적인 연동, 실내 커버리지의 안정적 확보 등 품질 제고를 위한 과제를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통사들이 5G의 주요 먹거리로 지목했던 B2B(기업간거래) 분야는 걸음마 단계다. 일부 제조 공장에 스마트팩토리가 적용되고 5G망을 활용한 시범 자율주행에도 성공했지만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5G망이 보다 안정화되면 실감형 콘텐츠와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홈 서비스가 보다 정밀해져 소비자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분야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 pama8@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