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현준 기자] 17일 발표된 범정부 인공지능(AI) 국가전략은 AI 반도체 경쟁력 확보가 핵심으로 꼽힌다.
기존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은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돼있다.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반도체로, D램과 S램 등이 이에 속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해외 강자들에 비해 경쟁력이 약한 것이 사실이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연산과 논리 등과 같은 정보처리가 목적이다. 컴퓨터에 들어가는 중앙처리장치(CPU)나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이 이에 해당된다. AI와 사물인터넷(IoT) 기기 및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장은 인텔과 퀄컴 등이 주도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억(메모리)과 연산(프로세서) 기능을 통합한 신개념 AI 반도체(PIM, Processing In Memory) 개발을 추진하는 내용을 AI 국가전략에 포함시켰다. PIM은 CPU 중심의 컴퓨팅을 뇌 구조와 같은 메모리 중심의 컴퓨팅으로 바꾸는 반도체를 말한다. 현재의 메모리·프로세서 구조에서 제기되는 속도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만큼 개발이 쉽지는 않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 국가전략 발표 브리핑에서 "사람의 두뇌는 메모리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AI 반도체도 메모리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가 잘하는 메모리 반도체를 살려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AI 반도체를 개발하면 세계적으로 앞서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AI 국가전략을 통해 전국 단위의 AI 거점화 전략을 내년까지 마련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각 지역의 특색과 AI를 접목해 특징을 갖춘 AI 경쟁력을 각 지역에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그 시작은 광주 AI 거점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광주에 총 사업비 3939억원을 들여 AI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광주가 강점을 지닌 자동차, 에너지·전기, 고령화 등의 분야에 특화해서 AI를 활용해 클러스터를 구성해서 운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른 지역에도 특화 산업이나 경쟁력을 갖춘 분야에 AI를 접목해 각 지역별 AI 거점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맨 왼쪽)과 각 부처 간부들이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AI 국가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AI 국가전략의 이행을 위한 범정부 협업체계는 기존 4차산업혁명위원회(4차위)가 AI 관련 범국가 위원회로 역할을 재정립해 맡게 된다. 최 장관은 "4차위가 그동안 좀 광범위하게 과제들을 맡고 있었는데 이제 AI에 중점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나갈 생각"이라며 "좀 더 힘을 싣기 위해 대통령 주재의 전략회의도 만들어 컨트롤 타워에 대한 문제는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촉발될 기존 법과의 충돌 우려에 대해서는 미래사회 법제정비단(가칭)이 대응한다. 정부는 내년에 법제정비단을 발족할 계획이다. 장 실장은 "법제정비단은 범부처로 운영하는데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꾸릴 것"이라며 "AI가 확대됐을 때 어떤 법적인 개선이 이뤄져야 할지에 대해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 pama8@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