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우찬 기자] 크립토업계가 신규 디파이(DeFi·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금융서비스) 상품을 출시하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프로젝트 상장보다 암호화폐(가상자산) 대출 상품 등 새로운 투자상품 발굴에 사업방향의 무게추가 실리는 모습이다.
코인원은 11일 암호화폐 루나(LUNA) 데일리 스테이킹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데일리 스테이킹은 거래소에 해당 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면 자동으로 이자가 들어오는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는 아톰(ATOM)을 잇는 두번째 데일리 스테이킹 프로젝트다. 루나는 테라 블록체인 내에서 사용되는 마이닝 토큰으로, 스테이킹을 하면 테라 블록체인 내 결제 시스템 수수료를 이자로 받을 수 있다. 루나 데일리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은 루나를 1개 이상 보유한 코인원 고객에 한해 이뤄진다.
델리오(Delio)는 빗썸을 통해 렌딩 서비스를 최근 선보였다. 빗썸에 보유 중인 암호화폐를 담보로 원화를 대출하는 서비스다. 메이저 코인을 담보로 현금 대출, 메이저 코인을 담보로 메이저 코인을 대출 받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결제서비스 회사 매트릭스포트와 업무 제휴를 맺은 코빗 또한 디파이 상품 출시를 저울질하고 있다. 코빗은 미국 금융서비스 기업인 셀시어스 네트워크와도 업무 협약을 맺는 등 암호화폐 보상과 대여 서비스를 테스트하며 상품성을 검증하고 있는 단계다.
거래소를 중심으로 한 크립토업계가 디파이 쪽에 무게를 싣는 것은 불황에 놓여있는 시장 상황과 무관치 않다. 눈에 띄는 알트코인이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프로젝트 상장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의 경우 수익성이 크게 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업비트, 빗썸의 경우 프로젝트 상장에 따른 이른바 상장피(수수료)만 적게는 5억원에서 많게는 10억~12억원에 이를 만큼 상장 비즈니스가 쏠쏠한 수익원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트코인 등 메이저 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의 경우 상장피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거래량이 미미해 서버 운영비용도 충당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A거래소의 경우 상장피는 코인당 1비트코인(약 1000만원)인데, 해당 코인의 3개월 서버 운영비밖에 안 된다"며 "거래량이 거의 없는 코인의 경우 유동성 부족 등 시세조종의 타깃이 되는 등 거래소에 리스크만 된다. 알트코인의 시장성이 바닥에 있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디파이 쪽으로 사업 중심의 무게추를 옮기는 것은 업계의 자구책 성격도 있는 셈이다.
시장 상황과 맞물려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국회통과를 눈앞에 두며 제도권 진입이 임박한 부분도 디파이 상품 출시를 부채질하고 있다. 국내 거래소의 관계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실사용 사례가 나오지 않다 보니 거래소들이 프로젝트 투자에서 메이저 코인을 활용한 투자상품 쪽으로 사업 전략을 다시 짜고 있다"며 "특금법이 통과될 경우를 고려해 법적으로 용인되는 투자상품 출시를 미리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 사진=픽사베이
이우찬 기자 iamrainshi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