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미얀마 민주화운동 100일을 지지한다
2021-05-13 06:00:00 2021-05-13 06:00:00
미얀마 군부가 민주정부를 전복하면서 촉발된 미얀마 민주화운동이 12일자로 100일째를 맞았다. 앞서 지난 2월1일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을 주축으로 한 군부는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아웅산 수 치 여사와 윈 민 미얀마연방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민주정부(민주주의민족동맹, NLD)를 무너뜨리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쿠데타 직후 미얀마 각지에선 군부에 반발하는 시위가 시작됐으며, 군부의 공포정치 속에서도 미얀마 민주화운동은 석달째 이어지고 있다.
 
불과 석달 사이 미얀마의 상황은 급속히 악화됐다. 미얀마 인권단체인 '미얀마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쿠데타로 인한 인명피해는 지난 11일 기준 783명, 구금된 인원은 3859명이다. 하루 7~8명이 군부의 무자비한 시위진압으로 목숨을 잃었다. 사망자 중 18세 미만 청소년과 아동은 약 50명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그 가운데는 신생아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쿠데타는 미얀마 경제도 파국으로 몰아가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이 지난달 30일에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내년 미얀마에선 인구의 절반인 2500만명이 빈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분석됐다. 쿠데타로 국내 정세가 불안해지자 경제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투자는 철회됐으며, 화폐가치가 폭락해 물가가 치솟아서다.
 
하지만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적극적 문제제기는 아직 요원하다. 국제연합(유엔)은 제재결의 등 공식적 개입보다 성명만 발표했다. 아세안도 미얀마 내 중재만 주선하는 모양새다. 미얀마 민주화운동이 소강상태에 접어들면 과거처럼 군부가 집권하는 정치제체가 이어지고, 이후 내전이 만성화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 시민사회가 미얀마 민주화운동에 지지를 보내는 건 올바른 일이다. 실제 국내에선 미얀마를 돕자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미얀마 상황은 군부가 쿠데타로 권력을 쟁취했고 이에 반발한 자국민을 학살했다는 점에서 우리의 5·18 광주민주화 운동과 닮았다. 5·18기념재단이 미얀마 민주화운동을 지지하기로 한 건 이런 배경이다. 대선주자 중에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미얀마 민주화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물론 우리 정부와 시민사회가 미얀마 군부와 직접 소통하거나 그곳에 가서 시위에 동참하는 건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다만 국제사회가 미얀마에 관심을 보인다는 걸 꾸준히 표출하는 건 군부에 압박을 주면서 국민에게는 시위를 계속할 동력이 된다. 지난달 18일 한남동 주한 미얀마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열린 시위에서 만난 미얀마 민주화운동 활동가들은 이 점을 특히 강조했다. 아울러 단순한 지지 표시에서 벗어나 쿠데타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 민주화운동을 어떤 식으로 지원할 것이냐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도 마련되어야 한다.
 
최병호 사회부 기자(choib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