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재의 미디어 비평)이태원 참사 2년, 희생자 이름과 언론
2024-11-01 06:00:00 2024-11-01 06:00:00
한꺼번에 150명이 넘는 희생자를 낸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지 2년이 지났다. 올해 10월 마지막 주말에도 젊은이들은 서울 곳곳에서 핼러윈 축제를 즐겼지만 추모 분위기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시민들과 유가족들은 추모제를 열었고 언론도 추모 보도를 냈다.  
 
이태원 참사는 무능한 정부가 불러온 사회적 참사라는 점, 그리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는 점 때문에 유가족들과 시민들의 분노가 가시지 않고 있다. 참사 당시 경찰이 현장에서 인파 통제를 하지 않고 그 대신 마약 수사를 하고 있었다는 등의 의혹도 해소되지 않았다. 책임져야 할 고위 공직자들이 모두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 것도 공분을 사고 있다. 
 
10년 전 세월호 참사 때 ‘전원구조’라는 최악의 오보를 냈던 언론이 이태원 참사 때는 어땠을까? 오보를 내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제 역할과 책임을 제대로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당시 일부 언론은 ‘서양 귀신 축제’에 몰려간 젊은이들의 무질서가 문제였다는 보도를 냈다. ‘토끼 머리띠 남자’ ‘좁은 도로’에게 사고 원인과 책임을 묻는 뉴스도 나왔다. 행안부 장관, 경찰청장, 소방청장, 구청장 같은 공직자들이 처벌받지 않았는데도 이를 별로 문제 삼지 않았다. 국정의 무한책임자인 대통령의 책임은 아예 제대로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 정권의 눈치를 보고 책임을 덮으려는 비굴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정부가 사망자들의 이름을 감추자 언론도 이를 덮었다. 유족들은 사망자를 확인하기 위해 참사 다음날 저녁까지 여러 병원 영안실을 헤매고 다녀야 했다. 정부는 사망자들의 이름이나 사진 없이 국화꽃만 쌓아놓은 분향소를 만들어 추모객을 받았다. 정부가 이렇게 한 이유는 뻔하다. 세월호 때처럼 유족들이 만나고 모여서 정부에게 책임을 물을까봐 겁이 났던 것이다. 언론은 알면서도 비판하지 않았다. 비판은커녕 희생자 이름 감추기에 더 적극 나섰다. 
 
언론은 희생자 명단 공개를 ‘2차 가해’니 ‘패륜’이니 하며 비난했다. 언론은 스스로 정해놓은 재난보도준칙에도 나와 있지 않은 명단 공개 금지를 갑자기 금과옥조처럼 섬기며 정부와 같은 입장을 고집했다. 그러나 언론은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과거 벌어진 모든 사회적 참사 당시 희생자들의 이름을 지면과 화면을 통해 낱낱이 보도해왔다.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하는 것이 불과 몇 년 전에는 괜찮았다가 갑자기 ‘패륜’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에서는 올해도 9.11 테러 희생자를 추모하며 그라운드제로에 모인 시민들이 사망자 3천여 명의 이름을 하나하나 부른 것은 ‘2차 가해’나 ‘패륜’인가? 
 
언론은 지금도 희생자 이름을 부르지 못하고 있다. 희생자 명단 공개가 왜 필요한지, 혹은 왜 금지되어야 하는지 토론 한번 벌인 적도 없다. 언론이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은 것은 당시에도 문제였지만 앞으로도 문제가 될 것이다. 사회적 참사가 다시 벌어져서는 안되겠지만, 만약 또 이런 일이 생기면 그 때도 희생자 명단을 감추고 이름도 영정도 위패도 없는 분향소에 국민을 불러낼 것인가?
 
김성재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