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손정협기자]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8월 근원물가 상승률도 OECD 국가 중 최상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채소류 가격급등'이나 '고유가' 등 정부가 물가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던 부분들을 제외했을때도 여전히 물가가 세계 최고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가관리에 실패한 정부가 그동안 '기상이변으로 인한 채소류 가격급등' '유가 상승'을 물가급등 원인이라고 지목해 온 주장이 사실상 거짓이었음을 드러낸다.
◇ 물가 상승의 숨은 주범은 서비스 요금 인상
6일 OECD가 산출한 한국의 8월 근원물가 상승률은 3.25%로, 6.06%의 터키에 이어 34개 회원국 중 두번째로 높았다.
전체 평균인 1.85%와 비교하면 1.5%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순위인 3위보다도 한 계단 높다.
지난달 정부는 8월 소비자물가 급등(5.3%)의 원인으로 ▲ 채소류와 금반지 가격 급등 ▲ 석유제품 가격상승세 지속 등을 들었다.
하지만 채소류를 비롯한 식료품과 석유제품 가격 상승분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함에 따라, '천재지변'이나 '원유가격' 등 외부요인을 탓해온 정부의 논리가 궁색해지게 됐다.
실제로 8월 물가상승분을 항목별로 보면 식료품 ㆍ비주류음료(11.4%) 이외에 기타잡비(8.6%), 교통(7.8%), 주거 및 수도ㆍ광열(5.5%), 외식ㆍ숙박(3.8%)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외식비(삼겹살 17.9%), 미용료(7.9%), 시내버스료(5.6%), 대입학원비(5.5%), 전세(5.1%), 치과진료비(4.2%)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 대내적인 가격 불안요인 개선노력 시급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9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에서 교육(11.1%), 통신(6.0%), 외식 및 숙박(13.3%) 등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의 2배에 달한다.
그동안은 서비스 물가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최근 가격상승 속도가 상품에 비해 빨라지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이끌고 있다.
하반기들어 공공교통과 에너지 요금 상승이 잇따르는데다 다음달에는 수도권 버스와 지하철 요금인상이 예정돼 있다.
윤상하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을 높여 가격상승요인을 완화해야 한다"며 "상품과 서비스 유통구조의 경쟁을 촉진하고 복합한 유통단계를 단순화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