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한승기자]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창업 지원정책과 적극적인 민간 참여가 어우러진 '창업 한국'이 구현돼야 한다"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은 지난 21~22일 양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에서 이와 같이 강조했다.
이에 미국 오바마 정부가 '창업 미국'(Start-up America)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위기로 인해 높아진 실업률을 2년 만에 2% 낮추는데 크게 기여한 점을 예로 들었다.
아울러 21세기는 거역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SW)의 시대인 만큼, SW 개발능력이 창조경제 발전의 핵심수단임을 강조하며 청소년 세대의 컴퓨터 언어 습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창업 지원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연구개발Ⅰ·Ⅱ ▲혁신Ⅰ·Ⅱ ▲창업 ▲일자리 창출로 세션을 나눠 30명의 국내외 전문패널들이 분야별로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연구개발' 세션에서는 창조경제에서 기초연구의 중요성과 기초연구의 실용화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 논의가 벌어졌다.
패널들은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체계로 전환하려면 장기적 비전을 통해 기초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전국적 인재발굴 시스템 마련 ▲여성인력 참여 확대 ▲기초연구의 국제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기초연구의 약 85% 가량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사장된다는 현실을 지적하며 상호영역을 뛰어넘은 통섭적 연구와 출연연구소의 역할 등을 통해 이러한 간격을 줄여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혁신' 세션에서는 소비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공급자가 선도적으로 제공하고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 기기의 기술 표준화와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부의 장기적 비전, 보안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주문됐다.
패널들은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가 '열심히'에서 '창조로, '비용'에서 '가치' 중심으로, '실패'가 몰락이 아닌 '자산'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창업' 및 '일자리 창출' 세션에서는 그동안 정부와 산업계의 노력에도 아직 한국의 벤처 생태계가 제대로 조성되지 않았지만 벤처 창업의 불씨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희망섞인 토론도 이어졌다.
융자형 지원에서 투자형 자금지원으로의 전환이나 관리형 인큐베이터에서의 마케팅형 지원, 창업자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보장제도 마련 등 벤처 창업 시스템에 대한 제도적 정비가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