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민호기자] 최근 유해물질 누출 등으로 대학과 연구기관들의 피해가 늘고 있음에도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팽배해 미래창조과학부가 '환경ㆍ건강ㆍ안전(EHS)' 통합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미래부는 3일 이른바 EHS 전문 관리·감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주체를 미래부내에서 확보하고 대학과 연구기관 EHS 통합관리를 위한 조직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HS 전문가는 각 연구기관에 대해 위험별, 연구분야별 중점관리 물질에 대한 관리 가이드라인 및 평가기준을 확립하고 안전보건 환경의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과 종합관리 체계를 운영하게 된다.
미래부가 실제 조사한 결과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한 대학·연구기관 차원의 전담부서 설치가 미비해 선제적 위험관리를 위한 조직 체계 구축 자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시연구활동종사자가 300인 이상인 대학과 연구기관에서는 연구실 안전환경관리자가 연구실 안전관리 업무를 전담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일반대학 82%, 연구기관 41%, 기업연구소 67%로 법 이행 수준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부분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연구실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지만 최근 2년 동안 단 1회도 개최하지 않은 경우가 평균 38%로 실질적인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법정 정기교육은 연간 12시간이나 대학은 49.3%, 연구기관은 43.9%가 법정교육 이수로 교육률도 저조했다.
전문대학의 경우 개별연구실 개인보호구 비치는 42%로 조사됐고 착용하는 경우는 단 3%에 그쳐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미래부는 "취약기관에 대한 안전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화학·생물학 유해인자에 대한 중점 관리 및 EHS 통합관리 토대를 구축할 필요가 있어 전문조직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