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용식기자] 국내 인터넷기업들이 중국시장 진출을 꺼리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중국정부 주도의 규제와 자국기업 보호주의 탓이다.
지금까지 중국시장은 방대한 시장성 때문에 ‘기회의 땅’과 같았다. 지난해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수가 6억명에 육박하며 보급률은 어느덧 44%에 도달했다. 추산되는 시장 크기만 하더라도 수백조원을 넘는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지리적 접근성과 우월한 콘텐츠 제작역량을 앞세워 진출을 시도했고 일부는 성공신화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인터넷업계 종사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가장 큰 장벽으로 다가오는 것은 투자에 대한 제한이다. 중국에서는 외국인이 영리 목적으로 인터넷 사업을 하는 경우 회사설립 시 지분 50% 이상을 가져갈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외부 투자자들은 현지 기업인을 앞세워 합작법인을 만들곤 하는데 언제든지 회사를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기 마련이다.
콘텐츠 검열에 대한 부분도 부담이다. 중국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가 담겼거나 체제불안을 야기한다고 보는 인터넷 활동에 대해서 강하게 제재를 가하고 있다.
통상 내부 인터넷 활동검열을 ‘황금방패(Golden Shield)’, 외국사이트 접속차단을 ‘만리장성 방화벽(the Great Firewall)’라 말한다. 이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 대부분 글로벌 서비스들은 이미 차단됐으며 가장 최근에는 카카오톡과 라인의 서비스 불통 현상이 같은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그리고 이는 자국기업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마지막으로 중국 인터넷기업이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비즈니스 행태를 벌이는 것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요소로 꼽힌다.
인터넷업계 한 관계자는 “디지털 콘텐츠 수출에 대한 건으로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업무를 진행했는데 일은 제대로 진척되지도 않는 데다 핵심기술을 빼앗으려는 의심이 들어 중단하기로 했다”며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들었지만 감수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래서인지 많은 회사들이 중국보다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유아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한 스타트업 대표는 “소프트웨어 회사로서 해외진출을 모색했을 때 기본적으로 주변 국가를 보게 되는데 일본이 중국보다 사업을 하기에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전문가들은 워낙 시장성이 방대하기 때문에 진출시도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보다 합리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사업환경을 만들어야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 모바일 메신저 라인은 중국에서 지난 몇주간 불통 상황이다. (사진=네이버)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