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 중국 역할 축소…인도·아세안은 확대
2020-08-02 11:00:00 2020-08-02 11:00:00
[뉴스토마토 최유라 기자] 세계의 공장으로서 중국의 역할이 서서히 축소되면서 우리 기업들도 중국 내수용과 제3국 재수출용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 구조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 대체 생산기지로는 인도와 아세안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3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우리의 대응’에 따르면 해외 중간재를 수입해 조립·가공한 후 전 세계로 최종재를 수출하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간재 가공지로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11.8%에서 2018년 11.5%로 하락했다. 최종재 수요지를 아시아로 제한하더라도 중국에서 가공된 중간재 비중은 2013년 34.5%에서 2018년 34.2%로 다소 하락했다. 
 
그 사이 인도와 아세안의 역할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아세안에서 수입 중간재를 조립·가공해 만든 최종재를 전 세계로 공급하는 비중은 2015년 4.2%에서 2018년 4.5%로 상승했고 인도의 비중도 2015년 2.5%에서 2.9%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종재 수요지를 아시아로 보면 아세안의 비중은 2011년(11.1%), 인도는 2013년(7.9%)을 기점으로 상승해 2018년에는 아세안 12.4%, 인도 9%를 기록했다.
 
표/무역협회
 
한편 한국의 중국 수출 중 중간재 비중은 통관 기준으로 지난해 77.4%(1054억달러)에 달했다. 이를 다시 부가가치 기준으로 분석해 보면 2018년 중국에 수출한 중간재 중 현지 내수용으로 사용된 것이 78.1%로 제3국 재수출용(21.9%)보다 3.5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는 한국의 중국 수출이 저임금 가공무역 위주에서 내수 공략형 부품공급체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주로 전기장비(25.2%), 화학(10.4%), 기초·가공금속(4.9%) 등 업종에서 수입 중간재를 내수용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조금씩 축소되고는 있지만 중국 중심의 공급망이 단기간 내에 급격히 변화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특히 한국은 중국 교역 의존도가 높은 만큼 중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기존의 공급망은 유지하면서도 제3국으로의 재수출 공급망을 인도, 아세안 등으로 다원화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유라 기자 cyoora1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