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물놀이를 즐기다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휴가 중 다쳤다면 우선 응급처치를 시행한 뒤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이미지=힘찬병원)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뒤늦은 장맛비가 연일 쏟아지고 있지만 비가 그치면 여름 휴가를 계획 중인 이들이 많다.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이후 예기치 못한 통증이 생기거나 염좌 등의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서핑은 바다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놀거리 중 하나다. 서핑은 기본이면서 중요한 패들링(Paddling)을 잘 해야 즐길 수 있다. 서핑의 전 과정 중 패들링 동작이 5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패들링은 서핑보드 위에서 엎드린 채로, 원하는 파도에 올라타기 위해 목표지점까지 끊임없이 팔을 젓는 동작이다. 패들링 동작을 팔의 힘만으로 오래 하거나 바닷물에 너무 깊게 손을 집어넣으면 물의 저항이 심해져 어깨관절에 무리가 올 가능성이 크다. 서핑 후 어깨 통증은 주로 1년 미만의 서퍼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만큼 정확한 패들링 기술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홍세정 강북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팔을 많이 쓰는 스포츠를 즐길 때에는 어깨 충돌증후군을 주의해야 한다"며 "어깨 관절을 덮는 견봉과 어깨를 회전시키는 회전근이 서로 충돌하면서 염증과 통증을 발생시키는데, 낮보다 밤에 통증이 심하고 팔을 뒤로 돌리기 어려운 증상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패들링만큼 서핑에서 중요한 푸시업(Push-up)은 상체를 뒤로 젖히고 보드에서 무릎을 떼고 손바닥과 발끝만으로 보드에 붙이는 동작이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빠르게 일어나 라이딩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체를 뒤로 과도하게 젖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별한 병력이 없는 젊은층이 처음 파도타기를 배우면서 허리 통증을 겪을 때 파도타기척수병증을 의심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또 다른 여름철 물놀이인 웨이크보드와 수상스키는 모터보트가 만들어내는 파도를 가로지르며 시속 35~60km의 속도로 물살을 가른다. 수면의 강한 반동을 받으면서 무게 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온몸에 힘을 줘 몸살이 나거나 관절에 통증을 느끼기도 쉽다.
웨이크보드와 수상스키 모두 물 위에서 강인한 근력과 체력이 요구되는 전신운동으로 스스로 제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프나 회전, 착지 과정에서 무릎 부상 가능성이 높다.
웨이크보드의 부상을 예방하려면 허리 아래를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유지하는 기마자세를 취하고 상체는 정면을 응시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또한 화려한 기술을 구현하기보다는 온몸에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넘어지는 것부터 배워야 한다. 수상스키는 모터보드에 맞춰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고 넘어지지 않도록 몸을 지탱하는 무릎이 여러 차례 강한 뒤틀림을 경험하게 된다. 중심을 잃고 뒤로 주저앉을 때 무릎이 지나치게 구부러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무릎을 약간 굽힌 채로 양쪽 다리의 균형을 잡아야 한쪽으로 균형이 무너졌을 때 인대 손상 등을 막을 수 있다.
휴가철 부상은 워터파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워터슬라이드, 파도타기, 인공폭포가 대표적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서로 엉키거나 밀리고, 미끄러워 넘어지기 쉬운 환경상 예기치 못한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 발목 부상이다. 순간 발목이 잘못되면서 염좌가 일어나는 등 발목 상해가 발생하기 쉽다.
발목을 삐끗하거나 심하게 꺾이는 경우 먼저 냉찜질을 하거나 테이핑을 통해 발목을 고정하는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붓기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는 인대, 연골, 신경 조직에 추가적인 문제가 없는지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사고를 피하려면 미끄러움을 방지해 줄 수 있는 아쿠아슈즈 등을 신는 것이 좋다. 또 워터파크 내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놀이 기구에 대한 주의사항을 확실히 숙지하고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슬라이드를 탈 때는 간격을 잘 조절해 타고, 인공폭포는 낙수의 충격을 되도록 피할 것을 권한다. 파도타기는 물이라 하더라도 몸이 느끼는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평소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김유근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발목 관절이 보통의 운동 범위를 넘어서게 돼 순간적으로 비틀리거나 접질러 인대나 건이 손상되어 급성 통증을 느끼게 되는 상해가 흔하다"며 "심한 경우에는 관절 활액막이 찢어지고 발목 관절의 연골까지 손상돼 관절 주변이 퉁퉁 부어 진료실을 찾는다"고 말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