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태진 기자] 지주회사 체제인 27개 대기업집단의 총수일가가 지주회사 체제 밖에서 225개 계열사를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지배력 확대로 지주체제 안팎에서 부당 내부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32개 지주회사의 총수·총수일가의 평균 지분율은 각각 26%, 50.1%로 집계됐다. 9월 말 기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대기업집단은 27개다.
27개 전환집단 소속 계열사 중 총수일가가 지주회사 체제 밖에서 지배하는 계열사는 225개였다. 225개의 체제 밖 계열회사 중 사익편취 규제 대상은 96개(42.7%)에 달했다. 규제 사각지대에 있는 45개까지 포함하면 141개(62.7%) 규모다.
사익편취 규제 대상 회사 중 14개가 지주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총수 2세가 보유한 8개사 중 7개사에서는 20% 이상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수가 있는 27개 전환집단의 내부거래 비중(국내 계열회사를 상대로 거둔 매출액 비중)은 13.68%로 34개 일반집단의 평균(10.38%)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전환집단 지주회사 23개는 전환집단 지주회사의 매출액 중 배당수익과 배당외수익 비중이 각각 44.6%, 47.9%로 높았다. 특히 CJ, 코오롱, 반도홀딩스, 부영, 하림지주, HDC 등 6개사는 배당외 수익 비중이 70% 이상이었다.
지주회사의 수익원은 배당수익, 배당외수익, 사업 매출 등으로 분류돼 있다. 배당외 수익의 경우는 브랜드 수수료, 부동산 임대료, 경영관리·자문 수수료다.
또 전환집단 소속 해외계열사의 국내계열사 출자 현황을 보면, 지주사 전환집단에 속한 국외 계열사 35개가 국내 계열사 30곳에 출자하고 있다.
국내 계열사에 출자한 해외 계열사가 많은 전환집단은 롯데(16곳), SK·LG(각 4곳), 코오롱·동원(각 3곳), 두산(2곳), CJ·하이트진로·한진(각 1곳) 등의 순이었다.
신용희 공정위 지주회사과장은 "편법승계나 부당한 부의 이전 등 총수일가의 이익을 위해 체제 안팎에서 계열사 간 부당 내부거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라며 "지주회사의 소유구조 등을 분석·공개해 제도개선에 활용하고, 시장의 감시·견제와 자발적인 지배구조 개선을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1일 ‘2021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지주사의 소유·출자 현황 및 수익 구조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신용희 공정거래위원회 지주회사과장. 사진/뉴시스
세종= 김태진 기자 memory44444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